규산

규산

[ silicic acid , 硅酸 ]

요약 규소와 산소 및 수소가 혼합된 화합물의 일반적인 명칭이며 화학식은 [SiOx(OH)4-2x]n이다.

흔히 오쏘규산 H4SiO4을 말하지만, 메타규산 H2SiO, 메소이규산 H2Si3O8, 메소삼규산 H6Si4O1, 메소사규산 H4Si3O81을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일은 적으며, 혼합체로 되어 있는 일이 많다. 즉, 규산알칼리의 진한 용액에 산을 가하면 무정형(無定形)의 흰색 겔 상태 물질이 생기는데, 이것을 흔히 규산이라 한다.

이것은 이산화규소와 물이 화합한 것이나, 그 물의 양은 일정하지 않다. 이 규산이 응고한 것을 건조공기 속에 방치하였다가 가열 건조시키면 차차 물을 잃으면서 500℃에서 이산화규소 SiO2가 된다. 이 사이에 이산화규소 1몰에 대하여 일정한 몰수(數)의 물이 화합했다고 생각되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때의 규산을 일정한 화학식으로 나타내기는 곤란하다. 이들 염에 비추어 보아 오쏘규산·메타규산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뜨거운 물·알칼리에 녹고, 찬물에는 약간 녹으나 산에는 녹지 않는다. 진한 황산이나 알코올 무수물에 의하여 탈수되고, 플루오린화수소에서는 즉시 분해된다. 수용액은 메틸렌블루에 의해서 청흑색이 된다.

천연으로 산출되는 단백석 SiO2·nH2O는 화강암공극(空隙)에 생기는 2차적 광물이며, 수목의 섬유와 치환되고(규화목), 온천의 침전물인 규화(硅華)로도 산출된다. 규조류(硅藻類)의 유체(遺體)로 이루어진 규조토도 이것의 일종이다. 수분을 2~10% 포함하는 인공의 규산 겔은 실리카겔이라 하는데, 흡착력이 강하여 여러 용도로 쓰인다. 광물학에서는 이산화규소를 규산이라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