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주 종가 문적

권주 종가 문적

[ Documents of Gwon Ju’s Family , 權柱 宗家 文籍 ]

요약 조선 전기의 문신 권주(權柱)의 종손가에 소장된 9종 14점의 고문서와 전적(典籍). 1989년 5월 2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권주 종가 문적

권주 종가 문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9년 5월 23일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크기 9종 14점

1989년 5월 2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교서(敎書) : 1점. 1497년(연산군 3) 8월 국왕이 충청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忠淸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로 부임하는 권주에게 내린 훈유교서(訓諭敎書)이다.

② 유서(諭書) : 1점. 1503년 국왕이 경상도관찰사 권주에게 내린 유서로, 밀부(密符) 제7부(第七符)를 내려 특권을 부여하였다.

교지(敎旨) : 2종. 1441년 권항(權恒)이 문과정과(文科丁科)에 급제하고, 1481년 권주가 문과갑과(文科甲科)에 급제하였음을 증명하는 홍패교지(紅牌敎旨)이다.

분재기(分財記) : 화회문기(和會文記) 등 노비와 토지를 분배하는 3점의 문서이다.

⑤ 동방록(同房錄) : 필사본. 1책. 1418년 간행. 1475∼1481년 성종 때 진사로서 성균관의 같은 방에서 지내며 독서하던 동지(同志)인 이창수(李昌壽) 등 당시의 명사(名士) 13명이 우의를 다지기 위해 시를 쓰고 성명 ·본관 ·거주지를 적은 책이다.

⑥ 경수첩(敬守帖) : 필사본(자필). 1책. 권주가 응교(應敎)로 있을 때 쓴 친필 시책(諡冊)과 시(詩) 4수를 첩장(帖裝)한 책이다.

⑦ 선세수찰(先世手札) : 필사본(자필). 1책. 권주가 감사(監司)로 있을 때 자제(子弟)에게 보낸 편지와 이황(李滉)의 필적(筆蹟) 등을 모아 1642년 개장(改裝)한 책이다.

⑧ 상대계첩(霜臺契帖) : 필사본. 3책. 인조 연간에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로 있던 동료관원의 계첩이다. 상대는 사헌부의 별칭이다. 첫면에 도(圖)가 있고, 이어서 각 계원의 품계(品階)·관직·성명·생년·자(字)·본관 등을 기록하였다.

⑨ 종남동도회제명록(終南同道會題名錄) : 필사본(원본). 1책. 1656년에 김응조(金應祖) 등 12명이 작성한 계첩으로, 당시 영남지방 사람으로서 서울에서 벼슬하던 사람들이 휴가 때 남산에서 결성(結成)한 계회(契會)이다.

참조항목

권주, 풍천면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