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업회

권업회

[ 勸業會 ]

요약 1911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新韓村)에서 조직된 항일독립운동 단체.
구분 항일독립운동 단체
설립일 1911년
설립목적 항일독립운동
주요활동/업무 《권업신문》창간, 민족정신 고양, 교민 단결, 지위 향상
소재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규모 회원 1913년 10월 2,600명, 1914년 8,579명

이종호(李鍾浩)·김익용(金翼鎔)·엄인섭(嚴仁燮) 등이 결성하고 초대회장에 최재형(崔才亨), 부회장에 홍범도(洪範圖)를 선임하였다. 본부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에 두었으며, 주요 도시에 지회와 분사무소를 두었다. 같은 해 12월 총회에서 회칙을 개정하여 조직을 의사부와 집행부로 나누고, 의사부의 의장과 부의장이 회를 대표하기로 하였다.

이에 의장에 이상설(李相卨), 부의장에 이종호가 선임되어 회무를 총괄하였다.
권업회라는 이름만 보면 정치적인 색을 띠지 않는 순수 경제단체인 것처럼 보이나 이것은 일제와 러시아의 탄압을 피하기 위하여 붙인 위장명칭이고 실제는 항일구국운동이 목적이었다. 회원은 21세 이상이면 남녀·신앙·교육의 차별 없이 될 수 있었으나 3인 이상의 보증서가 있어야 가입시켰다.

그들은 효과적으로 활동하기 위하여 기관지 《권업신문》을 창간하였으며, 이를 통해 민족정신을 고양시켜나갔다. 또한 항일독립운동 전개, 교민의 단결과 지위 향상에 애썼으며, 각종 기념일에 행사와 강연회를 개최하였다. 회원은 1913년 10월 2,600명, 1914년 8,579명이었다. 그러나 1914년 러시아는 대일관계의 악화를 우려한 나머지 강제로 해산하였다. 그 후 이 전통은 1917년 창설된 전로한족중앙회(全露韓族中央會)로 이어졌다.

권업회 본문 이미지 1
신흥무관학교서로군정서북로군정서간민회서전서숙명동학교권업회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