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윈모델

굿윈모델

[ Goodwin's model ]

요약 R.굿윈이 투자함수를 도입하여 경기순환과정을 설명한 이론 모델.

투자 I가 국민소득 Y의 증가율 dY/dt와 비례관계(I=v(dY/dt))에 있다고 가정할 때, 그 비례계수 v를 가속도인자 또는가속도계수라고 한다. 굿윈은 I가 v(dY/dt)의 비선형함수(非線型函數)로 되는 보다 일반적인투자함수를 도입하여 지속적인 경기순환을 설명하였다. 그의 모델에 의한 경기순환과정을 단순화시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의 최적자본량 K*는 국민소득과 비례관계에 있기 때문에 K*=vY가성립된다. 실제의 자본량 K가 K*와 같지 않을 때 투자에 의하여 조정이 되는데,

굿윈모델 본문 이미지 1

과 같이 투자가 행하여진다고 하자. 여기서 L은 자본재생산능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定數)이고M(>0)은 존재하는 자본의 감모율(減耗率:一定)이다. 다음으로 C를 소비, 소비함수를 C=a+bY라 하면 산출량의 균형조건


굿윈모델 본문 이미지 2

로 된다. ⑴, ⑵식으로부터 결정되는 K의 변동은 [그림]과 같은 위상도(位相圖)로써 나타낼 수 있다. KM*, KL*은 ⑵식에 의하여 각각 dK/dt=-M,L로 얻어지는 최적자본량이다. 처음에, 경제가 점 A에 있었다면, 거기서는 자본증가율(dK/dt)의 L이 정[陽]이므로, 경제는 B로 향하게 된다. B점에서는 dK/dt=L에 대하여 K=K*로 되므로 자본증가율은0이 되는데 이에 대응하는 최적자본량은 KL*보다 작고, 자본증가율은 -M까지 하락하여 K가 감소하기 시작하며, 그 과정은 dK/dt=-M이 ⑵식과 양립하는 점 D까지 계속된다. D점에서는 K=K*이므로 dK/dt=0이 되고, 동시에 K<K*로 되어 정[陽]의 투자가 이루어져 경제는 점 A로 되돌아온다. 이상이 굿윈의 경기순환 모델의 단순화한 설명인데 그의 설명은 투자함수는 I=φ(v(dK/dt))로 φ함수는 S자형의 연속적인 것이 상정되어 투자계획과 투자지출과의 사이 및 경제의 총수요와 생산과의 사이에 시간차가 도입된,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서 검토되고 있다.

굿윈모델 본문 이미지 3

참조항목

투자, 투자함수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