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Stone Seated Buddha from Gunsu-ri, Buyeo , 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 ]

요약 삼국시대의 납석(蠟石) 불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0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시대 삼국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전체높이 13.5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전체높이 13.5cm.

젖빛 납석불상은 백제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소발(素髮)의 머리에는 작고 팽이 같은 육계(肉髻)가 있으며, 초기 중국불상의 영향이 강하던 수법과는 다르다. 얼굴은 둥글고 복스러우며 만면에 가득한 미소가 넘쳐 있다. 두꺼운 옷에 싸여 몸의 형태는 드러나지 않고, 발의 표현도 없으며, 좁은 어깨, 양손이 배를 맞잡고 있는 모양 등은 그대로 고식(古式)수법이다. 어깨에 걸쳐 입은 납의(納衣)는 매우 두꺼우며 앞가슴이 조금 터진 곳에 卍자를 파서 새겼다. 계단식 옷주름을 그리며 내려오는 옷자락은 대좌(臺座)를 덮어 상현좌(裳懸座)를 만들고, 이 상현좌의 옷자락은 소박성 ·탄력성을 지닌 사실감(寫實感)이 넘친다. 대좌(臺座)는 옷자락에 거의 가려 있으나, 남아 있는 부분을 보면 그냥 사각형으로 깎아 만들었을 뿐이다.

이 불상은 1936년 가을 부여(扶餘) 군수리(軍守里)에 있는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목조탑 심초석(心礎石) 바로 위 지표 약 1.52m 되는 곳에서 출토되었다.

역참조항목

군수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홈페이지)(http://www.museu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