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

국화과

[ Composite family , 菊花科 ]

요약 속씨식물 국화목의 한 과로, 약 23,000종이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아열대 및 중저위도 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높다. 일년생,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아관목, 관목, 드물게 교목 또는 덩굴나무로, 육생 또는 드물게 수생한다. 꽃차례는 두상꽃차례이며, 총포로 둘러싸인다. 해바라기는 국화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식물 중 하나로 씨앗은 식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금잔화는 관상용으로 흔히 활용된다.
만수국

만수국

학명 Aster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국화
분포지역 전 세계, 특히 아열대 및 중저위도 지역
서식장소/자생지 숲속, 숲 가장자리, 초지, 해안가 등

국화과는 약 1,500속 23,000여 종으로 구성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아열대 및 중저위도 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높다. 숲속, 숲 가장자리, 초지, 해안가 등지에 자생한다. 주요 속으로는 금방망이속, 베르노니아속(Vernonia), 금잔화속, 기생초속, 참취속, 해바라기속 등이 있다.

가치 및 활용

해바라기는 국화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식물 중 하나로 씨앗은 식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금잔화는 관상용으로 흔히 활용된다. 개똥쑥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화합물 아르테미신(artemisinin)의 공급원으로 매우 중요한 약용 식물자원이다.

특징

일년생,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아관목, 관목, 드물게 교목 또는 덩굴나무로, 육생 또는 드물게 수생한다. 가시, 털 또는 샘털이 있거나 없고, 흔히 포복경, 지하경, 괴경 또는 육질화된 뿌리가 발달하며, 유액 또는 수지를 함유한다. 뿌리잎과 줄기잎이 같이 달리거나 뿌리잎 또는 줄기잎만 있다.

잎은 호생, 대생, 속생 또는 드물게 윤생하며, 대개 홑잎으로 갈리지 않거나 여러 형태로 갈리지만 드물게 겹잎이고, 막질 내지 혁질이다. 잎자루는 있거나 없으며, 턱잎은 없다. 꽃차례(화서)는 두상화서로, 두화(각 두상화서 단위를 두화라고 함)는 하나씩 달리거나 여러 개가 모여서 원추화서, 산방화서, 총상화서 또는 수상화서 모양의 2차화서를 이룬다. 두화는 1개 내지 여러 열로 배열된 총포편으로 둘러싸인다. 두화를 이루는 소화들이 놓여 있는 부분(총화탁)은 편평하거나 오목 또는 볼록하고, 평활하거나 벌집 모양이며, 소화를 싸는 포는 있거나 없다. 소화는 두화당 다수이거나 드물게 소화 1개가 두화를 이루기도 하고, 이 경우 두화 여러 개가 2차 두화를 형성하며, 각 소화는 대개 양성이지만 간혹 자성, 웅성, 또는 암술수술이 퇴화된 중성이다.

꽃받침은 없거나 강모, 가시 또는 인편으로 이루어진 관모(씨방의 맨 끝에 붙은 솜털 같은 것)로 변형된다. 꽃부리는 합판화관(통꽃)으로, 통형, 순형, 설형(흔히 2-5개의 치아상 거치가 있음)이거나 실처럼 가늘다. 수술은 5개이며, 꽃부리에 붙는다. 꽃밥은 대개 합생하여 암술대를 감싸는 관을 형성하고(취약웅예), 2실이며, 정단부와 기부에 부속구조가 있거나 없고, 기부의 부속 구조는 둥글거나 쐐기, 꼬리 또는 귓불 모양이다.

암술은 심피 2개가 합생하여 이루어졌고, 자방은 하위이며, 자방실은 1개이다. 암술대는 1개로 대개 끝에서 2개로 갈리며, 열편 안쪽 면이 암술머리로 기능을 한다. 암술머리에는 유두상 또는 다양한 형태의 돌기나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흔히 각이 지거나 표면에 능선이 발달하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흔히 정단부에 관모가 있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약 95속 292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주요 속으로는 쑥부쟁이속, 긴갯고들빼기속, 민들레속, 선씀바귀속, 취나물속 등이 있다. 단양쑥부쟁이, 한라솜다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