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출신

국출신

[ 局出身 ]

요약 조선 후기의 무관직(武官職).

1637년(인조 15) 남한산성 방어전에 참가했던 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에 합격한 1,384명을 7개 국(局)으로 나누어 영숙문(永肅門:창덕궁 후원으로 나가는 문)을 지키게 한 무용청(武勇廳)에서 비롯되었다. 그뒤 효종 때 인원을 감원하여 5개 국으로 만들었다가 다시 4개 국으로 줄였고 1663년(현종 4)에 3개 국으로 정비되었다.

1685년(숙종 11) 3개 국에서 10명씩 선발하여 무예청(武藝廳)에 배속시켰고 1783년(정조 7) 이를 분리하여 장용위(壯勇衛)를 설치하였다. 1802년(순조 2) 장용위가 폐지되자 이들 30명은 훈련도감(訓鍊都監) 3국에 복귀하여 영숙문과 숭지문(崇智門:창경궁의 북문)을 지키게 되었다. 1882년(고종 19)에 폐지되었다.

훈련도감의 최하위 군관으로, 그 계급은 권무군관(勸武軍官) 아래이다. 일반병사들 중에서 무예시험을 치르고 선발된 이들로 50명씩 3개 국으로 편성되었고 정원은 150명이다. 병조에서 급료를 지급하였고 봄과 여름에는 훈련도감에서 무명과 삼베 각 1필씩을 지급하였다.

참조항목

장용위, 훈련도감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