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 Korean National Ballet , 國立─ ]

요약 한국의 대표적인 발레단.
구분 발레단
설립일 1962년 2월
주요활동/업무 국내작품 및 외국작품 발표, 창작물 공연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서초동 700) 예술의전당

1962년 2월 국립중앙극장 전속으로 창설된 국립무용단이 전신이다. 1970년 국립무용단 내에서 무용 부문과 발레 부문이 이원화되었고, 1974년 국립극장이 장충동으로 이전하면서 국립발레단으로 독립하였다. 2000년 2월 1일 재단법인으로 발족한 뒤 예술의전당 상주 단체가 되어 지금에 이른다.

1962년 3월 제1회 공연에서는 《백의 환상》(구성·안무 임성남, 음악 쇼팽), 《쌍곡선》(구성·안무 임성남, 음악 거슈윈), 《영은 살아있다》(구성·안무 소엄, 음악 김동진) 등을 발표하였으며, 국립발레단으로는 1970년 6월 《예불(禮佛)》이 첫 공연이다. 1974년 세계적인 명작발레인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인형》을 처음으로 한국에 소개하고, 1975년 서구발레의 첫 전막 공연으로 《지젤》을 발표하였다. 이후 외국 작품을 공연하는 한편으로 《지귀의 꿈》《처용》《배비장》《춘향의 사랑》《왕자 호동》 등을 발표하여 한국적 창작 발레를 개척하는 데 노력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세계 각국 현대발레단이 내한·공연함으로써 60년 넘게 지켜온 러시아식 고전발레에서 벗어나 현대발레를 수용하였다. 1993년 단장 겸 예술감독 체제를 도입하고 단원을 정단원과 연구단원으로 구분하는 서구식 운영방식을 채택하였으며, 후원회 및 부설 발레아카데미를 개설하였다. 1997년부터 대외적으로는 이집트와 이스라엘을 시작으로 일본·중국·러시아·폴란드 등지의 순회공연 등 해외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발레의 대중화를 위하여 '해설이 있는 발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조직은 이사회와 운영자문위원회, 예술스텝(단장 겸 예술감독, 부감독, 발레 마스터, 발레 미스트리스 등)과 행정스텝(사무국 산하의 경영관리팀·공연기획팀·홍보마케팅팀·운영지원팀·무대팀·음악팀·재활팀 등), 단원(수석무용수·그랑솔리스트·솔리스트·코리페·코르드발레·연구단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