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 國立國語院 ]

요약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의 국어 연구기관.
구분 연구기관
설립일 1984년 05월 10일
설립목적 어문정책 수립, 국민의 올바른 언어생활 계도
주요활동/업무 어문규범 연구, 어문실태 연구, 어문자료 연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방화3동 827)

1984년 5월 10일 문교부 산하 학술원 부설기관으로 설립된 국어연구소가 전신이다. 1990년 1월 3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교육부에서 문화부로 이관되고, 1990년 11월 발표된 대통령령 제13163호를 근거로 국립국어연구원 직제가 확정되면서 1991년 1월 23일 발족하였다. 2005년 국어기본법이 발효되면서 국립국어원으로 바뀌었다.

어문정책 전반에 관련된 연구를 주관하며 국민의 언어생활을 과학적으로 조사·연구하여 합리적인 어문정책을 수립하고 올바른 언어생활을 계도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또한 국어사전을 편찬하고, 각종 어문규정(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을 제정·홍보하여 언어생활의 표준을 제공하며 각종 어문자료를 수집하여 국어 유산을 보존한다.

개원 당시는 연구부를 1·2·3부로 나누어 업무를 추진하였으나, 1994년 어문규범연구부·어문실태연구부·어문자료연구부로 바뀌었다. 2005년 국립국어원으로 개편되면서 어문규범연구부는 언어정책부, 어문실태연구부는 국어생활부, 어문자료연구부는 국어진흥부로 각각 바꿨다.

정기 간행물로는 기관지 《새국어생활》(계간)과 소식지 《새국어소식》(월간), 《국어학 연감》(연간)이 있다. 그리고 어문규범의 수정 보완, 국어순화, 국어정책, 북한어에 대한 각종 연구사업을 벌여 《표준말 모음》(1991) 《표준화법 해설》(1992) 《국어순화 자료집》(1991, 1992, 1993) 《북한의 언어정책》(1992) 등을 간행하였다. 1992년 2월에는 국어에 관한 국민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가나다 전화’를 설치하고, 1999년 10월 상·중·하 3권으로 이루어진 《표준국어대사전》을 발간하였다.

또한 1998년에서 2007년에 이르는 10년계획으로 국어정보화 중장기사업의 일환인 ‘21세기 세종계획’을 실시하고 있다. 이 계획은 국어기초언어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국어를 정보화하고, 표준화된 전자사전 구축으로 국어를 체계화하며, 한민족의 국어를 세계화할 뿐 아니라 언어정보화 관련 규격이나 도구의 체계적 정리를 통해 국어 표준화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방화3동 827번지)에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