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교수

[ teaching , 敎授 ]

요약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고, 제능력(諸能力)이나 가치관을 형성시키는 교육활동.

학교교육에 있어서 수업·교수·학습지도라고 하는 3가지 용어는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의 3대 기능으로 양육·지도·교수를 들었고, 헤르바르트는 관리·훈련·교수를 주장하였다. 특히 학교교육에서 훈련과 교수가 가장 중요한 기능이며, 학교교육의 방법상 훈련과 교수를 2대 기능으로 간주한다.

헤르바르트는 훈련이란 직접적으로 도덕적인 품성에 영향을 주는 작용인 데 대하여, 교수는 객관적 교재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작용이라고 구분지었다. 이후 교수란 일반적으로 '교사가 아동·학생에게 교과적 내용을 주는 의도적·구안적(具案的)인 계속적 활동'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교수과정은 단순히 일방적으로 '가르쳐 주입하는 기억'으로부터 체계화되어 단계적 교수법(예:헤르바르트의 예측·제시·비교·종합·응용)의 모델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20세기의 교수론은 학습자의 성숙 정도나 의욕을 무시한 교수는 성공할 수가 없으므로 헤르바르트 교수론의 공식주의와 획일적인 학습교수방법을 타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과내용은 단원으로 조직하여 학습내용을 통일하였고, 아동의 개인차에 부응하는 개별교수를 강조하여 학교생활에서의 모든 경험을 학습내용에 포함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동이 학습활동을 계획·실천·비판하는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게 하여 교수의 사회화를 도모하려는 경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참조항목

강의법, 개발교수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