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방가무희

교방가무희

[ 敎坊歌舞戱 ]

요약 고려시대 교방악(敎坊樂)을 사용한 가무희(歌舞戱).

고려 때 팔관회(八關會)와 연등회(燃燈會) 등 큰 행사를 치를 때 절차를 갖추기 위하여 전정(殿庭)에서 백희(百戱)를 벌였는데, 이것은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종목을 집대성한 것이었다. 전상(殿上)의 가무에는 송(宋)나라에서 수입된 교방악이 보강되었는데, 《고려사》 <악지(樂志)>에는 가무희의 형태를 갖춘 것으로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 ·석노교곡파(惜奴嬌曲破) ·만년환만(萬年歡慢) 등의 대곡(大曲)이 있다고 썼다.

역참조항목

연등회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