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통신

광통신

[ optical communication , 光通信 ]

요약 이중 유리로 된 광섬유를 통해 레이저 빛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방식으로, 전기 통신에 비해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 없고 도청이 힘들며, 동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은 굴절률이 큰 속유리(코어)와 굴절률이 작은 겉유리(클래딩)로 이루어진 광섬유를 통해 빛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 방식으로, 1970년 미국 코닝사가 전송 손실이 20dB/km인 광섬유의 개발로 실용화되었다. 광통신의 송신 단말기에서는 전기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한 후 광섬유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에서는 빛 신호를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전기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하는 데는 레이저 다이오드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며,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꿀 때는 광전 다이오드 등의 광전소자를 이용한다.

광통신 본문 이미지 1

광통신은 전기 신호를 구리선을 이용하여 주고받는 전기 통신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 거의 없으므로 수십~수백 km의 거리를 중계기 없이도 전송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이다. 둘째, 외부로부터의 도청이 불가능하다. 셋째,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케이블로 만든 것을 광케이블이라고 하는데, 이 광케이블을 통해 동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광통신은 대용량과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중계 회선, 가입자 회선, 해저 케이블 등 현대의 통신에 적합하다. 광통신은 앞으로 상용화할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roadband ISDN)을 실현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