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축각

광축각

[ optic angle , 光軸角 ]

요약 광학적 2축성의 결정(結晶)에서 법선속도가 같은 방향의 +방향과 -방향 사이의 각을 가리킨다. 광축각은 결정 속의 각도를 말하지만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값은 공기중의 값으로 실제보다 약간 큰 값을 관측하게 된다.
굴절률과 광축각

굴절률과 광축각

법선속도가 같은 방향을 광축이라 하며, Z축과의 사이의 각을 θ라 하면 2θ를 광축각이라 한다. +일 때는 2θ<90°, -일 때는 180°>2θ>90°가 된다. -일 때는 보통 180°-2θ로 광축각을 나타내며, 광축각을 항상 90°보다 작은 값이 되도록 2V를 잡으면 2V=2θ가 +, 2V=180°-2θ가 -일 때를 나타낸다. 따라서, -의 경우는 2V=-50° 또는 -2V=50°라고 표시한다. 광축각은 결정 속의 각도로서 공기 중에서는 약간 커지므로 현미경하에서는 공기 중의 각도를 보게 된다. 이것을 겉보기광축각 2E라 하며, sin E=β sin V(β는 굴절률)의 관계가 있다.

광축각 본문 이미지 1

X,Y,Z의 세 광탄성축(光彈性軸) 방향으로 진동하는 주굴절(主屈折)을
광축각 본문 이미지 2
라 하면 광축각은

광축각 본문 이미지 3

또는,

광축각 본문 이미지 4

의 식에서 얻는다. 

참조항목

광축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