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도적정

광도적정

[ photometric titration , 光度滴定 ]

요약 시료용액에 적당한 시약의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용액의 흡광도가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용량분석법.

분광광도계(分光光度計)가 발달되어 보급됨에 따라 단색광(單色光)에 의한 광도적정이 가능하여 정밀도가 높아지면서 재현성(再現性)도 좋아졌다. 광도적정에는 시료용액 속에 있는 피정량물질 또는 적정시약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직접광도적정과, 적당한 시약을 가하여 적정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시약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간접광도적정이 있다. 어느 것이든 반응조(反應槽)는 외부광선(外部光線)으로부터 차단되고 여기에 외부로부터 광선이 침입하지 못하게 연구된 뷰렛의 끝 부분이 삽입되어 확실하게 적정시약의 액량을 읽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 반응조를 광전광도계의 시료용기부에 장치하는데, 적정 중의 온도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정온수(定溫水)를 순환시키는 장치도 구비하고 있다.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데는 광전비색계(光電比色計)가 흔히 사용된다. 광도적정은 거의 모든 용량분석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정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종말점의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

역참조항목

뷰렛, 부피분석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