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덕대부

광덕대부

[ 光德大夫 ]

요약 조선시대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한 종1품 상계(上階)의 의빈계(儀賓階).

1444년(세종 26)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설치되었다.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하는 위계로 종1품 상계였고 하계(下階)는 숭덕대부(崇德大夫)라고 하였다. 이밖에도 정1품 상계에 수록대부(綏祿大夫), 하계에 성록대부(成祿大夫), 정2품 상계에 봉헌대부(奉憲大夫), 하계에 통헌대부(通憲大夫), 종2품 상계에 자의대부(資義大夫), 하계에 순의대부(順義大夫), 정3품 상계에 봉순대부(奉順大夫), 하계에 정순대부(正順大夫), 종3품 상계에 명신대부(明信大夫), 하계에 돈신대부(敦信大夫) 등으로 정하였다.

속대전》에서는 정덕대부(靖德大夫)로 고쳤고 후기에는 의빈들에게도 일반 동반계(東班階)를 적용하여 숭록대부(崇祿大夫)라고 하였다. 관직은 위(尉)이다.

역참조항목

의덕대부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