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과정

관찰과정

[ cycle d'observation , 觀察課程 ]

요약 프랑스의 중등교육단계에서 진로지도를 위하여 실시하는 교육과정.

학습의 정상적인 발전을 도모하면서 학생의 의사(意思)와 자질(資質)을 조직적으로 관찰하여 진로지도에 반영한다.

1959년 베르토앵개혁에 의하여 5년간의 기초과정에 이어지는 전기(前期) 중등교육 2년간의 과정으로 신설되었다가 63년 4년으로 확대되었다. 이를 통칭하여 관찰 ·지도과정(cycle d’observation et d’orientation)이라고 하며, 정식으로는 제1기 과정이라고 한다. 학생의 적성 관찰은 보통의 수업을 통하여 이루어지지만, 그것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소수의 교사가 학생수가 적은 학급의 담임을 맡는 것이 특색이다.

수업시간의 3분의 1 정도를 할당하여 그룹지도하는 특별지도학습(travail dirigé)을 실시하는데,여기서는 공부하는 방법과 공동학습하는 방법의 지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각 교과담당 교원은 학생의 적성을 관찰하여 기록하지만, 그것을 정리하고 조정하여 진로를 권고하기까지는 학급주임교원 ·교무교원(敎務敎員) ·학교심리(學校心理) 전문가 ·진로지도원 ·학급위원회 ·지도위원회 등의 전문적인 직원과 기구가 있다.

관찰과정은 대체로 순조롭게 충실화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① 사립 중등학교에는 관찰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② 관찰과정을 두는 중등학교 사이에 학교차가 있기 때문에 단일의 종합제학교로서 중등교육 콜레지가 신설되어 급속히 보급되었으나, 관찰과정 담당자로서의 독자적인 교원양성이 고려되지 못하였다. ③ 관찰 ·지도의 방법과 기술에 관한 개선의 여지가 많다. ④ 관찰 ·지도의 조직 및 운영을 개선해야 한다. ⑤ 교원과 진로지도의 전문가 및 학부형 사이에 긴밀한 연계를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