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학

관상학

[ physiognomy , 觀相學 ]

요약 인상(人相)을 관찰하여서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고 그 얻어진 결론을 가지고 피흉추길(避凶趨吉)의 방법을 강구하는 학문이다.

관상학은 현실에 근거를 두고 통계학적 방법에 따르는 등 과학적인 방법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전해지는 다른 점술(占術)과는 근본적으로 그 유례를 달리한다.

관상학은 본래 중국에서 발생하였다.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진(晋)나라의 고포자경(姑布子卿)이 공자(孔子)의 상을 보고 장차 대성인(大聖人)이 될 것을 예언하였으며,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위(魏)나라 사람 당거(唐擧)도 상술(相術)로 이름이 높았으나 상법(相法)을 후세에 남긴 것은 없다.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남인도에서 달마(達磨)가 중국으로 들어와 선종(禪宗)을 일으키는 동시에 '달마상법'을 후세에 전하였다. 그 후 송(宋)나라 초기에 마의도사(麻衣道士)가 '마의상법'을 남겼는데, 관상학의 체계가 이때에 비로소 확립되었다. '달마상법'과 '마의상법'은 관상학의 쌍벽을 이룬다. 관상학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신라 시대이며, 고려 시대에는 혜징(惠澄)이 상술로 유명하였다. 조선 시대에도 끊임없이 유행하여 오늘에 이른다.

관상학은 대략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⑴ 기본인상(基本人相) : ① 머리·이마·눈·코·입·이·귀 등 중요한 부위를 관찰한다. ② 얼굴을 삼등분하여 위에서부터 상정(上停)·중정(中停)·하정(下停)으로 나누어 관찰한다.
⑵ 십이궁(十二宮) : 얼굴을 십이궁으로 나누어 관찰하는 것으로 명칭은 복록궁(福祿宮)·명궁(命宮)·천이궁(遷移宮)·형제궁(兄弟宮)·복덕궁(福德宮)·처첩궁(妻妾宮)·전택궁(田宅宮)·남녀궁(男女宮)·질액궁(疾厄宮)·재백궁(財帛宮)·노복궁(奴僕宮)·상모(相貌:전체적인 것)이다.
⑶ 찰색(察色) : 얼굴 각 부위의 혈색을 관찰해 기색과 에너지를 살펴본다.
⑷ 얼굴 이외의 부분 : ① 주름살·사마귀·점·모발·신체의 각 부분 등을 관찰한다. ② 동작(動作)으로 언어·호흡·식사·걸음걸이와 앉은 모양, 누운 모양 등을 관찰한다.

위에 열거한 것 이외에도 그 사람 일상생활의 이모저모 등 관찰을 해야 하는 것이 많다.

관상학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운명, 점복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