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대학살

관동대학살

[ 關東大虐殺 ]

요약 1923년(일본 大正 12)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일본 간토지방[關東地方]에 일어난 대지진과 이에 수반하여 발생한 학살사건.

일본 육군과 경찰은 이 지진을 이용, 날조된 유언(流言)을 퍼뜨려 무고한 한국인 수천 명을 학살하였다. 지진의 진원(震源)은 사가미만[相模灣:동경 139.3", 북위 35.2", 심도 40km]이었으나, 간토지방 전역과 시즈오카[靜岡)·야마나시[山梨] 두 현(縣)에도 큰 재해를 가져왔다. 매그니튜드 7.9, 최대진도 7이었다.

일본 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사망자 9만 9331명, 행방불명 4만 3476명, 가옥 전파(全破) 12만 8266동, 반파(半破) 12만 6233동, 소실(燒失) 44만 7128동, 유실(流失) 868동의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대도시인 도쿄·요코하마[橫濱]에서는 화재로 인한 피해가 대부분이었으며, 건물 붕괴로 인한 압사자(壓死者)는 도쿄에서 확인된 수가 2,000명 안팎이었으며, 화재에 의한 사망자는 6만 명에 달했다. 도쿄 혼조[本所]에 있는 육군 피복창 자리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피난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스미다강[隅田川] 쪽에서 세찬 바람이 불어 피난보따리에 불이 붙기 시작하여 4만 명이 소사하였다.

이 지진은 일본의 중심지인 도쿄와 요코하마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더욱 영향이 컸다. 더구나 제1차 세계대전 후 경제대공황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있던 일본은 이 재난으로 인하여 국가적인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지진 발생 다음날 발족한 야마모토 곤노효에[山本權兵衛] 내각은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 계엄령을 선포해야 했고 계엄령을 선포하기 위해서는 위기의식을 조성해야 했는데, 이 위기의식을 조성하는 데 재일한국인이 이용된 것이다.

즉,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는 유언비어를 조직적으로 유포시켜, 민심의 불안이 극도에 도달한 이날 오후 6시를 기하여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그리고 그들 당국자들은 유언비어의 전파에만 그치지 않고 그것을 민중에게 확신시키기 위하여 유언반(流言班), 지휘반, 실행반 등의 공작대를 조직하여 그들로 하여금 방화·독물투입·투탄(投彈) 등의 테러 행위를 감행시켜 그것이 마치 조선인들이 자행한 것처럼 조작하였다.

일본 국민은 한국인 폭동설을 그대로 믿고, 그 보복책으로 각 지방별로 자경단(自警團)을 조직하였다. 그 수는 도쿄에 1,593, 가나가와[神奈川]에 603, 사이타마[埼玉]에 300, 지바[千葉]에 366, 이바라기[茨城]에 336, 군마[群馬]에 469, 기타 16, 합계 3,689개의 자경단이 조직되었다. 이리하여 군경과 자경단에 의한 한국인 대학살이 자행되었다.

학살된 한국인의 수는 확실하지 않으나,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는 저서 《압박과 학살》에서 2534명으로, 김승학(金承學)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6066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9월 3일에는 일본인 노동운동 지도자 히라사자와 게이시치[平澤計七] 등 9명이 가메이도[龜戶] 경찰서에 검거되어 학살되었고, 16일에는 오스기 사카에[大杉榮:사회주의의 거물]와 그의 처 이토 노에[伊藤野枝] 등이 헌병대위 아마카스 마사히코[甘粕正彦] 등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일본이 이 지진에서 입은 총피해액은 65억 엔이며, 그후 일본은 제도부흥심의회(帝都復興審議會)·부흥원 등을 설치, 재해복구에 노력했으나, 무고한 한국인을 학살한 일본 군벌의 잔악한 행위는 일본역사상 씻을 수 없는 오점으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