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민권법

공민권법

[ Civil Rights Act , 公民權法 ]

요약 미국의 흑인보호법(黑人保護法).

1957년 7월 미국의회는 전부터 문제가 되어 왔던 ‘공민권법’을 성립시켜, 대통령에게 흑인투표권 실시에 관한 넓은 권한을 부여했다. 또한 연방의회는 1964년 7월 인종차별철폐법(人種差別撤廢法)을 가결했다. 그 내용은 ① 흑인선거권의 방해제거(妨害除去), ② 공민권위원회(公民權委員會)의 임기연장, ③ 인종차별철폐과정에서의 학교에 대한 연방정부 원조 등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밖에 1965년 8월에 흑인의 투표권등록에 관한 차별철폐를 중심으로 한 공민권법이 성립되었고, 또 1968년 4월 흑인에 대한 주택면에서의 차별대우를 금지한 공민권법이 킹목사암살사건을 계기로 성립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이 공민권법도 지상평등(紙上平等)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여 흑인해방운동이 다시 격화했으나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가라앉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한편 흑인의 선거권 등록자수는 급속하게 증가하였고, 연방 하원의원이나 시장 등에 선출되는 흑인의 수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