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

공공디자인

[ public design , 公共─ ]

요약 공공장소의 여러 장비 ·장치를 보다 합리적으로 꾸미는 일.

인간이 소박한 원시공동체 속에 살고 있을 때에는 다만 자연과 관습에 따라 살아가기만 하면 일상생활에 별다른 지장이 없었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단세포사회인 가족도 그들이 일정한 장소에 정착하여 무리를 형성하게 되면서부터는 사회생활을 합리적으로 충실히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예를 들면, 관개용 운하(運河) 등의 공공시설을 갖추게 됨으로써 농지의 생산력을 높이게 되었다. 더욱이 문명의 발달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고, 기능이 한층 분화된 다세포(多細胞) 사회가 발생되면서 개인적인 생활의 장(場)과 병행하여 공공장소에서의 여러 장치나 장비를 보다 합리적으로 계획해야만 하였다. 여기에서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생겼다.

공공디자인에는 먼저 건축물과 도로 ·운하, 주거환경에 필요한 공원이나 산책로 등의 ‘환경적 시설’이 있다. 이 환경 시설에 대응하여 도로상의 여러 시설이 있다. 이러한 개개의 디자인은 물리적 기능으로서뿐만 아니라 시각적 환경의 한 요소로서 계획되어야 한다. 그런데 적절한 디자인과 배치는 생활의 장(場)에 질서를 주고 부적절한 배치는 당연히 혼란을 일으키게 된다. 도로시설물에는 광고 ·게시판 ·교통표지 ·신문광고 ·벤치 ·버스나 택시 ·정류장 ·지하철 입구 ·공중화장실 ·공중전화 ·가로등 ·쓰레기통 ·재떨이 ·자동판매기 ·우체통 ·화분 ·가로수 등 ‘사람을 위한 시설물’이 있으며, 자동차가 등장한 후로는 ‘자동차를 위한 시설물’로 신호등 ·교통표지 ·파킹 미터 ·가드레일 ·교통관제탑 등과 그 밖에 가선(架線) ·배기탑(排氣塔) ·소화전(消火栓) 등이 나타났다.

앞으로의 제3차 산업도시의 상징적인 공공디자인은 선진국에 있는 거대한 빌딩의 경우처럼 초가구(超街區) ·초고층(超高層) ·부지 내의 공공공지(公共空地), 자동차 처리 시스템 등, 서유럽형 재개발의 전형적 모티프를 채용하게 될 것이다. 마스터 플랜에 의하여 이런 종류의 시설과 보조를 맞춘 통근철도계획, 그 밖의 교통시설의 시스템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고층건물을 지을 때 그 밑에 지하철역을 함께 시설한다는 식의 해결방법을 채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차도와 보도로 나누는 시스템, 녹지대와 가능하다면 맑은 물이 흐르는 운하망(運河網)을 도시에 증설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혹은 하나의 큰 빌딩 자체가 소도시적인 기능을 태내화(胎內化)한(예를 들면, 가로에 해당하는 실내의 복도를 걸어갈 때, 때로는 녹색의 전망이 전개되는 따위의 극적인 연출까지를 갖춘) 공공디자인이 더욱 의미 있을 것이다. 한편, 공공장소를 아름답고 쾌적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공공장소에 대한 공중도덕과 생활감정을 잘 인도해야 한다.

참조항목

공공시설, 디자인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