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물지리학

고생물지리학

[ paleobiogeography , 古生物地理學 ]

요약 과거 지질시대의 생물, 즉 고(古)생물의 종류와 분포 및 특성 등을 연구하는 지리학 또는 지질학의 학문 분야.

생물지리학이란 현재 지구의 자연환경과 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동·식물의 지리적 분포와 지역적 차이, 식생 경관 등을 연구하는 자연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와 비교하여 고(古)생물지리학은 과거 지구 역사에 분포했던 동·식물의 종류와 특성, 지리적 분포 등을 다루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고생물지리학에서 다루는 시간적 대상은 인류시대 이전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나, 넓게는 인류 역사가 시작한 이후의 변화들도 대상이 되기도 한다. 고생물지리학은 지리학 중에서도 자연지리학의 한 분야일 수 있지만, 지질학이나 고생물학 등의 다른 학문에서도 다루어지며, 또한 해양학, 기후학, 토양학, 고고학 등과도 관련된 종합적 학문의 성격을 띤다. 지리학 내에서도 생물지리학, 고(古)기후학, 토양지리학 등과 상호 연계되는 면이 많다. 특히 생물지리학에서는 분류생물지리학과 관계가 깊은데, 동·식물의 지리적 기원이나 이동, 진화 등과 관련하여 다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고생물지리학은 과거 지구에 존재하였던 생물들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고지구 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별히 고기후 환경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여 지구 기후 변화의 역사적 자료들을 제공하기도 한다.

고생물지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고생물학 및 지질학의 연구가 선행되거나 병행된다. 고생물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생물 연구방법은 화석에 대한 연구이다. 화석을 통해 고생물의 종류와 당시 그것이 존재했던 기후 등의 지구환경을 추론하며, 화석이 묻힌 퇴적층의 분석도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외에도 화분(花粉) 분석, 산소 동위원소, 탄소 동위원소 등의 방법들이 있다. 

또한 과거 지질시대의 지질학적 변화는 고생물 변화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지는데, 오늘날 멀리 떨어진 대륙에 분포하는 생물들, 예를 들면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등에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고(古)식물 화석군(化石群)은 과거 오랜 시간 대륙이동의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가 그러하듯이 수십, 수백만 년이 넘는 먼 옛날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인 데서 기인하는 근본적인 어려움과 한계가 존재하며, 아직까지는 가설 또는 추론 단계에 있는 것들이 많다.

참조항목

고생물학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