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고도징

고려고도징

[ 高麗古都徵 ]

요약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開城)의 산천과 사적을 기록한 책.
구분 목활자본
저자 한재렴
시대 조선 헌종 13년(1847)

목활자본. 7권 3책. 한재렴(韓在濂) 편찬. 1847년(헌종 13) 간행. 권1은 국도고(國都考) ·산수고(山水考) ·성곽고(城廓考), 권2는 궁전고(宮殿考), 권3은 공해(公廨) 부(附) 정동성(征東省) ·관사(館舍) ·교역(郊驛) ·방시(坊市) ·교량, 권4는 풍속, 권5는 단묘고(壇廟考) 부(附) 경령전(景靈殿) ·적경원(積慶園) ·적전(籍田) ·산릉고(山陵考) 부(附) 영안성(永安城), 권6은 태학고(太學考) 부(附) 구재(九齋), 권7은 사원 부인희전(寺院附仁熙殿) ·혜명전(惠明殿) 및 잡록(雜錄)으로 되어 있다.

책머리에는 지(識)가 있어 간행 경위를 알 수 있으며, 편자의 자작시(自作詩) 7수도 수록하였다. 1910년(융희 4)에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발해고(渤海考) ·북여요천(北輿要遷) ·북새기략(北塞記略) ·고려도경(高麗圖經)과 합본하여 간행하였다.

역참조항목

발해고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