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의방유취

고금의방유취

[ 古今醫方類聚 ]

요약 조선 세종 때 간행한 의서(醫書).
구분 의서, 목판본
시대 조선시대

365권. 목판본.

1445년(세종 27) 10월, 왕의 명에 따라 당시 집현전교리(集賢殿副校理) 김예몽(金禮蒙), 저작랑(著作郞) 유성원(柳誠源), 사직(司直) 민보화(閔普和) 등이 여러 의방을 부문별로 수집한 후, 집현전 직제학(直提學) 김문(金汶) ·신석조(辛碩祖), 부교리 이예(李芮),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김수온(金守溫) 등이, 의관(醫官) 김순의(金循義) ·김유지(金有智) ·최윤(崔閏) 등과 함께 편찬하였다.

그 뒤 안평대군(安平大君) 용(瑢), 도승지 이사철(李思哲), 우승지 이사순(李師純),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노중례(盧仲禮) 등이 감수하여 3년에 걸쳐 완성하였다.

세종실록(世宗實錄)》 권 110에 보면, 왕이 의방유취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역참조항목

김예몽, 신석조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