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와당

고구려와당

[ 高句麗瓦當 ]

요약 고구려 시대에 사용된 기와의 한 종류.

고구려 기와는 중국 퉁거우[通溝]지방과 평양 부근 대성산(大聖山) 밑의 안학궁(安鶴宮) 터와 정릉사(定陵寺) 터 및 금강사(金剛寺) 터 등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수막새 무늬를 보면 귀면(鬼面)무늬·연화무늬·인동무늬·와(渦)무늬 등이 있다. 형태는 반달형과 원형이 있으며, 반달형 수막새는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볼 수 있는 오랜 것이다. 기와의 빛깔은 검붉은 것이 많고, 흑색·회흑색도 있다.

고구려와당 가운데 주류를 이루는 것은 연화무늬 와당이다. 초기의 것은 막새기와의 갓테가 높고 넓으며 갓테가 없는 것도 있으나, 말기의 것은 갓테가 있다. 고구려기와의 특징은 선이 날카롭고 억센 감을 주며, 연화무늬 중앙에 청동거울의 유(鈕)처럼 되어 그 주위에 방사선(放射線) 같은 선구(線區)가 만들어진 것이 많다. 그리고 연꽃잎 끝이 뾰족하며 씨방같은 유(鈕)에서 떨어져 있다. 말기에는 씨방이 있는 것도 있으며, 추녀마루 끝에 붙이는 귀면와(鬼面瓦)도 있다. 고구려기와는 억세고 강인한 고구려문화의 특질이 잘 나타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