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 Rock-carved Standing Buddha Triad in Yul-dong, Gyeongju , 慶州 栗洞 磨崖如來三尊立像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제 석불.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주율동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율동마애여래삼존입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경북 경주시 두대안길 69 (율동)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본존상 높이 3.32m (키 2.51m), 왼쪽 협시상 높이 2.45m (키 1.94m), 오른쪽 협시상 높이 2.22m (키 2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존상(本尊像) 전체 높이 3.32m(키 2.51m), 왼쪽 협시상(脇侍像) 전체 높이 2.45m(키 1.94m), 오른쪽 협시상 전체 높이 2.22m(키 2m)이다.

벽도산(碧桃山) 서쪽으로 향한 바위에 조각한 삼존불이며, 목조의 전실(前室)을 조영(造營)하였던 마애석굴사원이 있다. 이 삼존불은 8세기에 급격히 진출하였던 아미타불(阿彌陀佛)의 하나로 새로운 형태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불상이다. 소발(素髮)의 머리는 큰 데 비하여 육계(肉髻)는낮아 모자를 쓴 것처럼 보이고, 굴불사(掘佛寺)의 아미타여래와 같은 양식이다. 목은 거의 없으며 삼도(三道)도 형식화되었다. 어깨는 넓고 반듯하며 법의(法衣)는 얇아 몸의 굴곡이 그대로 나타난다. 오른손은 내리고 왼손은 가슴에 대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으며, 이것은 서향(西向)이라는 방위와 함께 아미타여래임을 말해준다. 어깨에 걸친 법의는 몹시 얇고, 배에는 띠가 나타나 있고, 법의의 하단은 V자형으로 예각(銳角)을 이루었으며, 두 다리에 모두 빗긴 V자형을 그리고 있는 것 등은, 군의(裙衣) 끝을 형식적으로 처리한 이 일련의 수법과 함께 시대의 진전을 역력히 말해준다. 즉, 굴불사 4면석불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풍만성, 발과 의(衣) 무늬의 형식화에서 제작시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왼쪽 보살은 풍만한 본존상에 비하면 날씬한 여성적 미를 표현하고 있다. 머리는 불상을 연상시키나, 높은 보계(寶髻)와 그 아래 머리카락을 우아하게 틀어 올렸다. 몸의 굴곡도 여실히 드러나고, 신체의 비율도 알맞다. 발은 옆으로 벌렸으며, 오른손은 어깨 위까지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왼손은 보병(寶甁)을 잡고 있는데, 이 인상(印相)은 아미타불의 좌협시관음보살(左脇侍觀音菩薩)임을 말해준다. 오른쪽 보살도 왼쪽 보살과 비슷하다. 이 불상들은 모두 선조원형두광(線條圓形頭光)을 하고 있으며, 대좌(臺座)는 연꽃으로 장식하였다. 본존은 홑꽃잎의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복련(覆蓮: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을 새겼으며, 보살상은 앙련만 배치하였다.

이 불상은 8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역참조항목

탑정동, 율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율동마애여래삼존입상 경북 경주시 율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마애삼존불.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