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농재

경농재

[ 慶農齋 ]

요약 조선 후기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지은 재당(齋堂).

1893년(고종 30) 경복궁 신무문(神武門) 밖 후원(현 청와대 앞)에 대유헌(大有軒)과 함께 건조하였다. 건물의 구조는 간략하고 검소하지만 세종(世宗) 때의 고사(故事)에 따라 농사일을 중히 여기고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지었다. 고종이 직접 상량문을 지었으며 상 ·하전(上下田), 동 ·남무(東南畝)를 만들어 서직도량(黍稷稻梁)의 곡식을 심고 왕이 직접 보살폈다. 경농재의 논은 8구역으로 나누어 1구역을 1도(道)로 간주하고 한 구역의 농사를 보고 그 도의 농사를 점쳤다.

참조항목

적전, 친경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