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선

검선

[ 劍船 ]

요약 고려 말~조선 초에 짧은 창검을 조밀하게 꽂은 소형 군선.

창검선(槍劍船)이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의 해전에서는 적의 선박에 접근하여 활을 쏘아 불태우는 방법이 주요한 전술이었는데, 이러한 전술에 착안한 군사용 선박이다. 검선이 기록에 처음 나타난 것은 고려사절요인데 고려 우왕 3년(1377) 손광우라는 만호(萬戶-고려시대 벼슬이름)가 왜구와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검선을 타고 빠져나왔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후 검선은 세종실록에 왜구가 자주 드나드는 포구에 검선을 배치하였고 압록강을 건너 노략질하는 여진족을 막기위해 검선을 배치해야 한다는 건의가 기록되어 있다.

한국의 변경을 침략 또는 노략질하는 일본과 여진족의 해적은 칼을 빼들고 싸우는 육탄전에 능숙하였으므로, 그들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배로 기어오르기 어렵도록 만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고려시대에 함경도에서 여진족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건조하여 사용한 과선(戈船)의 전통을 이은 것으로서, 압록강 너머에서 서북 국경지역을 노략질해 온 여진족을 방비하기 위하여 배치하기도 하였다. 또한 검선의 이러한 특징은 수백년이 지나 이순신이 거북선에 설치한 추도(錐刀)로 이어진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조선 전기까지는 그 존재가 확인되었으나, 태종 때부터 군선을 개량하면서 자취를 감추었다.

참조항목

거도선

역참조항목

거북선, 판옥선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