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접

거접

[ 巨接 ]

요약 조선시대에 서당에서 연중행사로 하던 글짓기 경쟁.

접(接)이라고도 한다. 여름철에 정자(亭子)·누대(樓臺)·산사(山寺) 등에 모여 시부(詩賦) 등을 지어 실력을 겨루었는데, 고려시대의 12도(徒)가 절간을 빌려 하과(夏課)를 한 데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사학(四學)·향교(鄕校) 등 관학(官學)은 물론 서당 등 사숙(私塾)에서도 성행하였다.

이 행사는 대체로 음력 6월을 전후하여 열렸는데, 향중(鄕中)의 명유(名儒)·노사(老士)를 초대한 가운데 개접례(開接禮)라는 잔치를 연 다음, 동접(東接)·서접(西接) 등으로 편을 갈라 제목을 내놓고 겨루었으므로 이를 전예(戰藝)라고도 하였다.

이때, 접장(接長)은 자기 접을 이기게 하기 위해서 자기 글을 지어 놓은 후 돌아다니며 자기편 접의 글을 대작(代作)해 주었다. 과거(科擧)의 예에 따라 먼저 바치는 글장을 일천(一天), 그 다음을 이천(二天), 맨 뒤에 내는 글장을 말천(末天)이라 했는데, 말천이면서도 글이 잘 되었으면 바닥장원을 주는 수도 있었다.

장원으로 뽑힌 사람은 장원례라 하여 참석한 모두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것이 관례였다. 글짓기겨루기를 계속하여 칠월 칠석, 또는 그 전날에 접을 파는데, 이때에도 파접례(罷接禮) 또는 세연례(洗硯禮)라고 하여 잔치를 베풀었다. 파접날의 글제는 흔히 한유(한퇴지)의 시구인 ‘등화초가친(燈火稍可親)’으로 정하는 것이 상례였다.

이황의 《이산서원기(伊山書院記)》에 보면 사학의 접에 참여하기 위해 타지방의 유생이 원정해오는 수도 있었으며, 그 비용을 관에서 부담한 곳도 있었던 것 같다. 거접은 향시(鄕試)의 과장(科場)에까지 옮겨져 서로 유리한 장소를 차지하려고 싸움을 벌이기도 하였으며, 불량배까지 동원되는 일도 있었다.

참조항목

백일장, 서당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