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상

개상

요약 타작할 때 알곡을 떠는 데 쓰이는 재래식 농기구.
개상

개상

지방에 따라 챗상·대상·공상·탯상·메·타작대라고도 한다. 조선 정조 때 서호수(徐浩修)가 지은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가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볏단이나 보릿단 등을 높이 쳐들었다가 이 개상에 세차게 태질을 하여 곡식의 알갱이를 떨어냈는데, 이것을 "개상질한다"고 하였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마치 밥상처럼 네모지게 깎은 통나무에 네 다리를 붙이거나, 서까래 같은 굵은 통나무 3∼5개를 나란히 잇대어 양쪽에 지름대를 넣거나 새끼줄로 엮은 다음 다리를 붙여서 만든 것 등이 있다. 이것을 그냥 쓰기도 하지만 여기에 넓적한 돌을 얹어서 쓰기도 하였다.

이런 개상이 없는 농가에서는 그 대용으로 한쪽이 평평한 굵은 통나무를 그대로 엎어 놓고 사용하거나 나무절구를 뉘어 놓고 사용하기도 하였다. 강원도의 도계(道溪) 지방에서는 크고 넙적한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탯돌'이라고 하였다.

개상은 높이 60∼80㎝ 정도 되고, 길이는 여러 명이 일할 수 있도록 다양하다. 성인 남자 한 사람이 일할 때 하루에 벼 1.5∼3가마 정도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상질은 아무리 잘하여도 낟알을 완전히 떨어내기는 어렵다. 덜 떨린 것을 따로 모아 두었다가 '채' 등을 이용하여 떨어내는데, 이것을 "짚 앗는다" 또는 "'벼 앗는다"라고 한다.

조선 후기 무렵 낟알을 좀더 편리하게 떨어낼 수 있는 홀태가 보급되기 시작하자 개상은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참조항목

농기구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