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홍립

강홍립

[ 姜弘立 ]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 명나라의 원병으로 5도도원수(五道都元帥)가 되어 후금을 쳤으나 대패하였다. 후금에 억류되었다 정묘호란 때 입국하여 조선과 후금의 강화를 주선하였으나 후금에 투항한 역신으로 몰리기도 하였다.
출생-사망 1560 ~ 1627
본관 진주
군신
내촌
국적 조선
활동분야 정치, 군사
주요업적 조명연합군으로 참전하여 후금과 부차전투를 벌임.
시대 조선시대(선조, 광해군, 인조)

1560년 병조참판 강신(姜紳)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본관은 진주(晋州)이고, 자 군신(君信), 호 내촌(耐村)이다. 당대 명문가 출신으로 조부 강사상(姜士尙)의 벼슬은 우의정에 이르렀고, 아버지 강신은 정여립의 역모를 평정하여 평난공신에 책록되었다. 1589년(선조 22) 진사가 되고, 1597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로 급제, 세자 시강원 설서(說書) ·예문관 검열 · 홍문관 ·사헌부 등의 요직을 거쳤다. 1599년 함경도도사(咸鏡道都事)로 재직하면서 여진족을 공략하는 방안을 조정에 건의하였다. 1605년에는 진주사(陳奏使) 이덕형(李德馨)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1608년 보덕(輔德)이 되고, 이듬해 한성부우윤, 함경도 병마절도사, 1614년 순검사(巡檢使)를 지내면서 함경도 일대 군비를 점검하였다. 1618년 그의 공적이 인정되어 광해군(光海君)에 의해 진녕군(晋寧君)에 봉해졌는데 명나라에 서장관으로 갔다가 광해군이 선조의 뒤를 잇는 적장자로 인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해 명나라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조선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에 조선 조정은 새로 일어난 후금의 세력이 만만치 않음을 감지하고 있었고 조정의 내부에서는 원군파병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하지만 명나라가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내온 사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파병을 결정하게 되었다. 강홍립은 외교전략과 중국어에 능통해 적임자로 추천을 받았으며 5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임명되어 1만 3,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출정하였다.

그러나 1619년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부차(富車)에서 대패하고, 강홍립은 조선군의 출병이 부득이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적진에 통고한 후 군사를 이끌고 후금에 항복하였다. 이는 현지에서의 형세를 보아 향배를 정하라는 광해군의 밀명에 따른 것이었다. 투항한 이듬해인 1620년 후금에 억류된 조선 포로들은 석방되어 귀국하였으나, 강홍립은 부원수 김경서(金景瑞) 등 10여 명과 함께 계속 억류되었다. 적진에 볼모로 있었지만 밀지를 보내 후금의 상황을 광해군에게 보고하였다.

강홍립이 후금에 억류된 사이 조선에서는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년)이 일어나 광해군(光海君) 실각하였다. 인조가 등극하였고 대북파 북인(北人)들이 절멸하고 서인(西人)이 정치적 실제로 군림하는 상황으로 변화되어 있었다. 강홍립은 1627년(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후금군의 선도로 입국하여 강화에서 후금과 조선의 화의(和議)를 주선한 뒤 국내에 머물 수 있게 되었다. 적지에서 포로로 잡혀 고생한 강홍립을 옹호하는 견해도 있었지만 삼사의 관료들은 그를 후금에 투항한 역신으로 몰았고 모든 관직을 삭탈하였다. 그해 7월 강홍립은 병을 얻어 사망하였고 사후 복관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