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첨 초상

강민첨 초상

[ Portrait of Kang Min-cheom , 姜民瞻 肖像 ]

요약 고려시대의 장군 강민첨의 초상화. 1975년 5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강민첨 초상

강민첨 초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75년 5월 16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 정조 12년(1788)
종류/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크기 가로 60cm, 세로 75cm

1975년 5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유지(油紙) 착채본(着彩本)으로, 크기는 60×75cm이다. 1788년 박춘빈(朴春彬)이 모사(模寫)하였다.

이 영정은 호피의자에 앉은 흉상(胸像)으로, 홍뉴복두(紅紐幞頭)·집홀(執笏)·칠분우안(七分右顔)에 큰 귀를 지녔으며, 얼굴 윤곽은 엷은 붉은색으로 처리하였다. 눈과 입술은 다소 격식화되었으나 전체적인 얼굴 모습은 격식화를 벗어났다. 단령(團領)의 홍색이나 포단(袍緞)의 빛깔은 갈색에 가깝다. 영정의 윗면에 묵서(墨書)한 찬문(撰文)과 그 옆의 기록으로 보아 1788년(정조 12) 10월에 진주병사(晋州兵使) 이연필(李延弼)이 우방사(牛芳寺)에 전해오던 공의 영정을 화사(畵師) 박춘빈에게 모사하게 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 영정은 회양책사(淮陽冊舍)에 보관되어 오던 것이 문중에 귀속하여 오늘날까지 보존된 듯하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참조항목

강민첨, 초상화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