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Gameunsa Temple Site, Gyeongju , 慶州 感恩寺址 東·西 三層石塔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감은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2기의 화강석제 석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당리 17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동·서 탑 모두 13.4m

2중의 기단에 사각형으로 쌓아올린 3층 석탑으로, 동·서 두 탑이 같은 규모와 구조이다. 2중기단 중의 하층기단은 지대석과 면석(面石)을 같은 돌로 만들었으며, 모두 12장의 석재로 이루어졌고, 상층기단은 면석을 12장으로 만들었다. 갑석(甲石)은 하층이 12장, 상층이 8장이며, 탱주(撑柱)는 하층에 3개, 상층에 2개를 세웠다.

탑신은 초층이 우주(隅柱)와 면석을 따로 세웠고, 2층은 각 면을 1장씩, 3층은 전체를 1장의 돌로 앉혔다. 옥개는 옥개석과 받침들이 각각 4개씩이며 받침은 각 층이 5단의 층급을 이루고 있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과 3.3m의 철제 찰간(擦竿)이 남아 있다. 많은 석재를 이용한 수법은 백제의 석탑과 같으나, 그것이 목조탑파를 충실히 모방한 것인데 반해 이 석탑의 조형수법은 기하학적으로 계산된 비율에 따른 것이다.

감은사는 682년(신라 신문왕 2)에 창건되었으므로 이 탑의 건립도 그 무렵으로 추정되어 가장 오래되고 거대한 석탑이다. 1960년에 서쪽 탑을 해체, 수리할 때 3층 탑신에서 창건 당시에 넣어둔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