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대부

간의대부

[ 諫議大夫 ]

요약 고려시대 문하부(門下府)의 관직.

사의대부(司議大夫)라고도 한다. 원래는 고려 목종 때부터 좌우간의대부가 있었다. 문종 때 정4품관을 좌우 각 1명씩 보직하였다가 1116년(예종 11) 좌우사의대부로 하였으며, 1298년(충렬왕 24) 좌우간의대부로 명칭을 고치고 품계를 내려 종4품관으로 하였는데,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 통합하여 간의대부로 개칭하고 종3품으로 승격하였다. 1362년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1369년에 좌우간의대부로, 1372년에 좌우사의대부로 개정하였다. 직능은 보궐(補闕)·습유(拾遺) 등과 함께 낭사(郎舍)로서 봉박(封駁)과 간쟁(諫爭)을 담당하였다.

참조항목

간쟁, 문하부, 봉박

역참조항목

김체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