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취방 벽지 곰팡이 배상 관련 질문입니다.

자취방 벽지 곰팡이 배상 관련 질문입니다.

작성일 2023.01.1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자취방 계약이 만료되어가는 시점에서 옷장 뒤 벽지에 공팡이가 심각하게 피어난걸 알게되었습니다.
곰팡이가 핀 벽은 모두 외부와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어서 단열이 잘 되지 않는 집의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벽 근처에 이슬이 아니라 물이 고일 정도로 단열이 잘 되지 않았었습니다. 
벽지를 새로 도배해야 한다고 하는데, 제가 이에 대한 비용을 제가 지불해야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취방 벽지 손상 #자취방 벽지 #자취방 벽지 곰팡이 #자취방 벽지 얼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 정도로 곰팡이가 폈다면 외출후 집에 들어왔을때 좋은 향기가 나진 않았을것으로 추측 됩니다. 따라서 곰팡이나 심각한 결로 등 집에 하자가 있을경우 집주인에게 바로 알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임대차 기간이 끝나가는 시점에 이야기를 하면 대부분의 집주인들은 거부반응을 보입니다.

따라서, 곰팡이의 원인이 단열이 잘 안되는 집의 구조적인 문제이건 아니건 그건 둘째 문제이며 이에대해 임차인이 이야기를 해줘야 임대인이 수리를 할 방법을 찾게 됩니다. 이를두고 임차인의 의무라고 하는데요. 임대인도 의무가 있지만 임차인도 의무가 있습니다.

일단 집주인에게 본인이 책임져야할 부분이 아니므로 도배를 하던 뭘 하던 그건 집주인 부담이지 세입자 부담이 아니라고 하세요. 아울러 도배 새로 한다고 해서 곰팡이가 없어지는건 아닙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단열이 잘 되지 않아서 생겨나는 문제는 집주인에게 보수를 요청하셔야 합니다. 물이 고일정도라니 그런 부분은 환기를 해도 단열이 되지 않으면 결로를 피할 수 없습니다.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야합니다. 그냥 벽지만 새로 바르지 마시고 아이소핑크 우레탄 본드와 우레판 폼 등으로 두텁게 단열을 하도록 하셔야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결로현상이 뭐죠?

(1) 건물 단열이 잘 안 되는 집일 경우 공기와 벽의 온도 차가 15도 이상이 되면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벽에 부딪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말한다.

(2) 결로현상이 잘 생기는 바깥하고 마주보는 외벽,창문 주변이나 벽 모서리, 장판 밑, 욕실의 타일 등은 습기가 쉽게 차는 곰팡이 상습발생 지역이다.

결로의 발생 원인

(1) 건축물의 입지 조건: 일조량 부족, 통풍 부족, 기후 조건

(2) 건축물의 하자: 내장재의 방습 성능 저하, 단열재를 미사용

(3) 생활 습관: 환기 부족, 실내 과습도 생활

(4) 계절적인 온도/습도 차이: 겨울철 외부와 내부간의 온도/습도차

결로 방지의 대책

(1) 시공 시 적절한 건축 자재(단열재)의 사용과 자재의 충분한 건조가 필요하다.

(2) 단열공사는 외부에 단열재 마감을 다시 하는 경우가 있고, 내부에 결로방지제나, 얇은 스티로폼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결로위치'나, '결로범위'에 따라 시공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돈이 좀 들더라도 '전문 시공업자'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다.

(3) 집안의 정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

(4) 냉, 난방 시 급속한 온도 조절은 피한다.

(5) 가구나 커튼의 배치 시 벽면에서부터 조금 거리를 두고 설치한다.

(6)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 시 잦은 환기와 식물간 넓은 간격을 유지한다.

(7) 집안을 오래 비울 때는 습한 곳에 신문지 등으로 습기를 흡수하도록 한다.

결로방지 페인트

(1) 습기가 많이 차는 곳에 칠하면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 이슬 맺힘이 많이 생기는 곳에 사용하면 더욱 좋다.

(2) 저녁에는 수분을 흡수하고 낮에는 건조시키는 호흡기능이 있다.

(3) 이슬이 많이 맺히는 뒷베란다나 지하주차장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타르,

석고 벽면에 바로 칠하면 된다.

결로가 심한 경우 페인트를 칠하여도 곰팡이가 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열 결로 페인트 및 항균 페인트 등 단열재 , 스티로폼 등을 이용한 단열시공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듯 합니다.

집안에 습기가 차게되면 곰팡이가 생기기 쉽습니다.

한번 생긴 곰팡이는 제거하기가 어려운데요.

곰팡이 몸에서 떨어져나온 곰팡이포자는 공기중에 수십,수백만개씩 떠다니다

습기가 많은곳에 닿으면 더 많은 곰팡이를 만들어 내며 호흡을 통해 인체에 들어가 비염이나

두드러기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곤 합니다.

집안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습기제거에 신경써주고

습기가 많은 곳에는 습기제거제를 놓아두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일단 곰팡이 흔적을 없애고 난 후에는 벽이 안쪽까지 마를 수 있도록 드라이기 등을 이용하여 바짝 말려줍니다.

곰팡이 재발을 막기 위해 곰팡이제거스프레이도 도포를 합니다.

2~3일 간격으로 덧칠하듯 도포하면 코팅력이 더욱 좋아집니다.

단열시공을 하시고 곰팡이방지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곰팡이가 재발하는 것을 막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 단열시공을 하시고 곰팡이방지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곰팡이가 재발하는 것을 막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 같고

제습기등을 설치해서 가동하시면 결로현상과 집안 습기조절의 많은 도움이 됩니다

벽지 곰팡이 임대인 임차인 누가 배상해...

... 여기까지고 질문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인터넷 검색해 보니 구조적 문제면 임대인 배상, 관리 소홀 문제면... 계약서에는 곰팡이 관련 내용은 없었고, 옵션 - 냉장고...

원룸 곰팡이벽지 배상관련

... 보였고 곰팡이로 변했습니다 제가 손이닿는부분은... 제가 배상해야하나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드립니다. 당연히 질문자께서 벽지비용은 부담하지 않으셔도...

벽지 곰팡이 질문

... 벽지 곰팡이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저희 집이 이사를 온지 약 4년 정도... 누수가있던거면 누수위치를 확인하시고 윗집문제면 윗집에 배상을 요청하시면될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