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박이장 결로..

붙박이장 결로..

작성일 2017.12.29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년전 신축건물로 이사하였구요

방위치는 현관문 옆에 방이고 붙박이장쪽이 엘리베이터쪽이랑 붙어있는거 같아요

이사하고 겨울이 다가오니 붙박이장안에 결로가 너무 심하더라구요

그래서 집주인쪽에서 한번 수리 해주고 또 결로가 생겼다 하니 도톰한 단열재?라해야되나

아무튼 그 비슷한걸 붙혀주더라구요

그러고 요번에도 또 결로인데 집주인에게 물어보니 신축집엔 이런일이 많은데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위치가 어쩔수 없어서 결로가 생기는건 당연하다더라구요..

일단 공사나 수리방법을 생각해본다던데

방법이없는건가요?

옷도 축축하고 입을때 마다 차갑다기보단 너무 꿉꿉해요..곰팡이도 생기고 붙박이장안 벽쪽엔 벽지가 쭈글쭈글 거리네요..

옷버린거하며 붙박이장안에 옷 빼고 다시 넣고 넘 스트레스 받네요..

만약에 방법이 있다면 어떤방법으로 수리하는지 금액은 어느 정도일까요?



#붙박이장 결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신축의경우 시멘트가 충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도배를하면 결로현상이 많이 생기고 생각보다 오랬동안 결로가 생길수 있습니다
올해가 유독 신축건물 결로현상 문의가 많은것 같습니다

벽이 표면은 몇일이면 마르지만 안쪽까지 마르는데 시간이 생각보다 많이 걸립니다

아래 내용은 곰팡이발생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방벽면(베란다)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은 습기나 결로현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베란다, 다용도실 창고 등에도 모두 동일합니다

결로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겨울철 벽면이 차갑게되면 실내 공기중에 있는 수분이
차가운 벽면에 달라붙게되며 습기가 많이 모이면 물방울이 생기는 결로현상이
되는 것입니다

결로현상은 아침에 많이 심한 이유가 저녁에 잠을 잘때 문을 닫아두고
난방을 많이 하기 때문에 실내가 많이 따뜻하기 때문에 더욱 심하게됩니다
낮시간에는 난방도 줄이겠지만 문을 열고 닫는 횟수가 많기 때문에 그만큼 실내 공기가
덜 따뜻하기 때문입니다
즉 외부 온도와 차이가 덜 나기 때문에 공기중의 수분이 벽면에 적게 달라붙는 것입니다

만약 지하공간이면 습기나 누수를 생각해야 합니다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결로와 달리 지하는 바닥이나 벽면에 습기가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방수페인트를 칠하여 습기 침투를 막아야 곰팡이 방지가 가능합니다

기존에 발생된 곰팡이 제거는 곰팡이제거제 등을 이용해서 제거를하면 됩니다
식초를 이용해서 제거하는 경우가 있는 식초는 우선은 잘 지워진다고합니다
그러나 식초 성분이 남아서 곰팡이 먹이가 되어 더 심하게 생긴다고 합니다

요즘은 곰팡이제거제 좋은 것이 많이 있습니다
스프레이 타입으로 뿌리기만하면 닦지 않아도 스스로 분해되어 없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제거를 하더라도 결로현상이나 습기기 있으면 다시 곰팡이가 생기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결로현상이나 습기가 생기지 않도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습기가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열공사를 해야하는데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리고 결로나 습기가 있어도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하려면 벽면에 곰팡이균이 서식할 수없도록
항균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곰팡이방지가 가능합니다
벽면에 항균기능을 유지시키려면 기능성항균페인트를 칠하면 됩니다
결로는 방지가되지 않더라도 곰팡이는 방지가 된다는 것입니다

항균페인트라고 무조건 곰팡이방지되는 것이 아니며 각 제조사별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으며
결로현상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기능성 항균페인트로 곰팡이방지가된 사례가 있는 제품으로 칠하면 더 이상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음이온이 풍부하게 발생하는 페인트를 칠하면 음이온 특성상 각종 유해한 물질과 흡착하여
분해하고 각종 잡냄새를 탈취하게 됩니다

그리고 습도조절 기능을 결로현상이 방지되거나 덜생길수 있습니다만 결로는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제품 선정을 잘해서 칠해두면 반영구적으로 곰팡이방지와 잡냄새 탈취가 됩니다
이름만 보고 선택하지말고 꼭 현장에 시공하여 곰팡이방지되었다는 제품으로 하면 됩니다
곰팡이 확실하게 방지되는냐고 문의를하면 "덜생긴다 또는 완화된다" 이렇게하는 제품은
효과가 미미할 것입니다

"확실하게 생기지 않습니다"라고 하는 제품을 사용하면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시멘트면, 기존 페인트 칠해진곳, 실크벽지 등 모든벽지에 도배대용으로 페인트 칠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모든벽지위에 칠이가능하며 시멘트면에도 가능하며 효과는 동일하고 칠한후 보기 좋은
쪽으로 검토를 해야합니다
실크벽지에 칠할 경우 젯소 칠하지 않고 바로 페인트 가능한 제품으로해야 젯소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도 수월합니다

주요기능은 곰팡이방지, 유해성물질탈취, 세균감소, 잡냄새제거 등 실점수기 정화작용을합니다

그리고 실점수간은 하루중에 가장 오래머무는 곳입니다
특히 방은 저녁에 잠자는 시간동안 계속 호흡을하면 머무는 곳입니다
그래서 방에 페인트 칠할 경우 페인트의 유해성물질 배출 여부 등을 따져보는 중요합니다
아래 도표에서 하루 인체가 섭취하는 물질량중에 음식물은 7%인데 실점수기는 57%라고 합니다

그만큼 실점수기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펜제렉스코리아 대구 수성점입니다

외기에 면한 벽면에는 붙박이장을 설치 하시면 안됩니다

메이저 건설업체의 모델하우스를 가보시면 외기에 면한 벽체엔 아무리 찾아봐도 붙박이장이

설치 되어 있지 않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유는

단열이 미흡한 벽체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면 붙박이장 두께가 단열재 역활을 하여 결로가

발생합니다 해결방법은 붙박이장 철거후 제대로 된 단열공사를 진행후 붙박이장을 놓으셔야하구요

그렇지 않다면 다른곳으로 옴기셔야합니다

참고하세요

아..그리고 단열폼이나 단열 벽지로는 외기에 면한 벽체의 단열은 절대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결로가 발생한 벽면에 제대로된 단열재를 시공 하셨다면 결로(습기)가 재발하지 안씁니다.기본적인 단열재를 사용 하지않고 저렴한 단열재와 시공자체가 부실하여 결로 (습기)발생을 차단하지 못한것 입니다.이런경우 기존에 시공된 단열재?를 철거한후 단열 등급이 높은 이보드 단열 시공 추천해드립니다.다소 비용이 들더라도 집주인과 상의하셔서 제대로된 단열시공을 하시기 바랍니다.궁금 하신점.시공상담은 네임카드 (블.로.그)전번 참고 하시면 시공 상담 가능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결로현상이 뭐죠?

(1) 건물 단열이 잘 안 되는 집일 경우 공기와 벽의 온도 차가 15도 이상이 되면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벽에 부딪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말한다.

(2) 결로현상이 잘 생기는 바깥하고 마주보는 외벽,창문 주변이나 벽 모서리, 장판 밑, 욕실의 타일 등은 습기가 쉽게 차는 곰팡이 상습발생 지역이다.

 

결로의 발생 원인

(1) 건축물의 입지 조건: 일조량 부족, 통풍 부족, 기후 조건

(2) 건축물의 하자: 내장재의 방습 성능 저하, 단열재를 미사용

(3) 생활 습관: 환기 부족

(4) 계절적인 온도/습도 차이: 겨울철 외부와 내부간의 온도/습도차

 

결로 방지의 대책

(1) 시공 시 적절한 건축 자재(단열재)의 사용과 자재의 충분한 건조가 필요하다.

(2) 단열공사는 외부에 단열재 마감을 다시 하는 경우가 있고, 내부에 결로방지제나, 얇은 스티로폼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결로위치'나, '결로범위'에 따라 시공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돈이 좀 들더라도 '전문 시공업자'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다.

(3) 집안의 정기적인 환기가 필요하다.

(4) 냉, 난방 시 급속한 온도 조절은 피한다.

(5) 가구나 커튼의 배치 시 벽면에서부터 조금 거리를 두고 설치한다.

(6)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 시 잦은 환기와 식물간 넓은 간격을 유지한다.

(7) 집안을 오래 비울 때는 습한 곳에 신문지 등으로 습기를 흡수하도록 한다.

 

결로방지 페인트

(1) 습기가 많이 차는 곳에 칠하면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 이슬 맺힘이 많이 생기는 곳에 사용하면 더욱 좋다.

(2) 저녁에는 수분을 흡수하고 낮에는 건조시키는 호흡기능이 있다.

(3) 이슬이 많이 맺히는 뒷베란다나 지하주차장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타르,

석고 벽면에 바로 칠하면 된다.
 

결로가 심한 경우 페인트를 칠하여도 곰팡이가 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열 결로 페인트 및 항균 페인트 등 단열재 , 스티로폼 등을 이용한 단열시공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듯 합니다.

 



집안에 습기가 차게되면 곰팡이가 생기기 쉽습니다.

한번 생긴 곰팡이는 제거하기가 어려운데요.

곰팡이 몸에서 떨어져나온 곰팡이포자는 공기중에 수십,수백만개씩 떠다니다

습기가 많은곳에 닿으면 더 많은 곰팡이를 만들어 내며 호흡을 통해 인체에 들어가 비염이나

두드러기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곤 합니다.

 

집안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습기제거에 신경써주고

습기가 많은 곳에는 습기제거제를 놓아두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일단 곰팡이 흔적을 없애고 난 후에는 벽이 안쪽까지 마를 수 있도록 드라이기 등을 이용하여 바짝 말려줍니다.

곰팡이 재발을 막기 위해 곰팡이제거스프레이도 도포를 합니다.

2~3일 간격으로 덧칠하듯 도포하면 코팅력이 더욱 좋아집니다.

 

단열시공을 하시고 곰팡이방지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곰팡이가 재발하는 것을 막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 단열시공을 하시고 곰팡이방지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곰팡이가 재발하는 것을 막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 같고
제습기등을 설치해서 가동하시면 결로현상과 집안 습기조절의 많은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신축건물이 습기가 머금고 있어서 결로가 더 심한 것입니다 그래서 관리가 더 필요한 것입니다


방안의 모든창문과 베란다의 경우는 겨울에 아주 춥습니다

그래서 결로가 생기고 곰팡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곰팡이 방지에 제일 좋은 방법은 우선은 습기를 만드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구요

예로는 밥하고 더운물쓰시고 하시면 그 습기 어디로 갈까요 차가운 벽에 다 붙습니다 환기를 하시면서 사셔야 하는 것입니다 환기는 실점수기를 외부공기로 바꾼다고 생각하고 환풍기라도 틀고 하셔야 하는 것이구요

 

두번째는 단열을 하는 것이고요 단열의 경우는 유리창에는 뽁뽁이를 붙이고 벽은 결로방지겸 곰팡이방지 페인트 바르시고 도배를 하시면 효과가 좋은 것입니다

 

세번째는 날씨가 좋은날 일주일에 1-2회 낮에 창문을 활짝 열어두고 청소를 할겸 환기를 제대로 시키는 것입니다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붙박이장 결로 문제

붙박이 결로 문제때문에 지식인 글남겨요 ㅠㅠ 구조가 현관문옆인 방이구요. 방 붙박이장 옆에 빌라 엘리베이터가 위치하고 있어요 한달전쯤에 붙박이장에서 옷입을때마다...

붙박이장 결로때문에 신문지 붙였는데...

붙박이장 결로때문에 신문지 붙였는데 괜찮을까요 붙박이 장에 붙인 신문이 젖어 곰팡이가 더 생깁니다. 붙박이장 문을 열어 두시고 물이 빠르게 건조 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