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발효

김치의발효

작성일 2024.03.19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김치를 발효시키면 맛과 향이 달라지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김치의 발효 과정은 맛과 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래 묵은 김치와 잘 익은 김치는 왜 맛도 다르고 향이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1. 김치의 발효 과정

  • 김치는 배추, 고추, 마늘, 젓갈 등 다양한 원료를 사용하여 만듭니다.

  • 이 원료들이 유산균을 통한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합니다.

  • 이 대사산물이 김치의 맛과 향을 결정합니다.

  1. 유산균의 역할

  • 김치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은 다양합니다.

  • 같은 조리법으로 김치를 만들어도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의 맛이 각각 달라집니다.

  • 예를 들어, 김치의 발효 초기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라는

  • 유산균이 주류를 이루어 신선한 맛과 향을 만듭니다.

  • 반면 김치의 발효 중ㆍ후기에는 '웨이셀라 코리엔시스’라는 유산균이 등장하며 맛과 향이 변화합니다.

  1. 맛과 향 변화

  • 김치의 발효가 중ㆍ후기로 넘어가면 김치의 맛과 향에도 변화가 나타납니다.

  • 웨이셀라 코리엔시스 유산균은 김치의 발효를 주도하며

  • 맛을 좌우하는 젖산, 초산과 같은 대사산물을 생성합니다.

  • 따라서 김치의 발효 정도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발효 과정은 과학적으로 맛과 향을 결정하며,

다양한 유산균이 조합되어 김치의 특별한 맛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래 발효시키면 충격적인 거부하게되는 싄김치로 변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생김치 상태보다 맛이들면 신맛과 향이 생기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김치명가 고담채입니다.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발효 될 수록 맛과 향은 더욱 풍부해집니다.

김치가 발효될수록 미생물의 활동이 확대되어 산성이 증가되어 산미와 더 깊은 감칠맛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채소도 부드러워지면 김치의 질감도 연해지는 등 식감의 변화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더 발효시킬수록 깊은 김치양념의 향이 나는데 잘못보관하거나 과발효시 김치 특유의 군내가 날 수 있습니다.

김치 관련 다양한 정보

블로그 https://blog.naver.com/ssp7113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글로벌 김치문화와 발효과학의 중심, 세계김치연구소 지식파트너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먼저 답변을 드리자면 네, 김치는 발효에 따라 맛과 향이 점차 달라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김치 발효에 작용하는 유산균 때문인데요. 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종류 및 분포양상은 재료, 염도, 발효 온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유산균들이 존재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는 류코노스톡(Leuconostoc), 웨이셀라(Weissella),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등에 속하는 유산균이 주 발효균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산균이란 젖산발효를 하는 세균으로써 대사 특성에 기초하여 붙여진 일반적인 이름이며, 포도당을 이용한 다음 젖산을 주로 만드는 동형발효 유산균(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과 젖산, 초산, 이산화탄소, 에탄올 등을 만드는 이형발효 유산균(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으로 구분됩니다.

잘 익은 김치는 탄산음료에서 느낄 수 있는 톡 쏘는 탄산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주로 류코노스톡, 웨이셀라 속에 속하는 이형발효 유산균이 탄산가스를 생성했기 때문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과숙된 김치에선 신맛을 느낄 수 있는데요. 이는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동형발효 유산균에 의해 젖산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형성된 결과라 볼 수 있습니다.

세계김치연구소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ଘ(੭ˊᵕˋ)੭* ੈ✩‧₊˚

감사합니다.

세계김치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써,

김치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여 국가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국내 김치산업을 식품산업의 대표적인 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https://www.wikim.re.kr/index.es?sid=a1

▶ 블로그 https://blog.naver.com/wikimpr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imchi__lab/

▶ 카카오톡 http://pf.kakao.com/_jZMWj

김치의발효

... 그 이유는 김치 발효에 작용하는 유산균 때문인데요. 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종류 및 분포양상은 재료, 염도, 발효 온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김치 과일 발효 원리

가끔씩 김치에 설탕 안 넣으시고 과일 갈아서 넣으시는 분들이 계시잖아요 과일을 갈아넣은 김치발효가 어떻게 되고 영양이 어떻게 변하는지 궁금해요!...

김치 발효 과정

김치의 2차 침채는 중국의 파오차이와는 다른 독특한 방법이라고 학교에서 배웠는데 2차 침채를 통해 김치발효되는건가요? 타국의 김치, 절임류들은 한 번 절인 후 다시...

김치의 발효과정

김치의 발효과정 영어로 20단어 이내에 짧게 요약 가능한가요..? pick-> pickled -> rot -> take out 뽑고 절이고 썩히고 꺼내고

김치효소 작용원리

김치효소의 작용원리 아무나 알려주새요ㅠㅠㅠ 김치의 발효는 배추와 무의 세포 속에 있는 김치효소가 작용하면서 시작되는데, 발효균과 발효조건, 발효 정도에 따라 맛과...

김치의 발효과정(내공50)

김치발효되면서 생기는 미생물(유산균)을 중심으로 발효과정 좀 알려주세요... 사진포함시 감사^^/빠른 시일내에 부탁드립니다..약간의 전공은 상관없습니다...

김치의 발효 과정을 정확히 알고싶어요

김치의 발효 과정이 궁금합니다, 이런 질문들이 많이 있었지만요, 먼저, 1. 보다 구체적으로 2. 보다 체계적으로 알고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_^ 님 글자가 복잡해서 이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