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문화에 관해 구체적으로

중국 문화에 관해 구체적으로

작성일 2007.07.2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중국에 관한 문화에 대해 정말~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요 사진도 봤으면 좋겠구요

근데 너무 포괄적이다 보니 찾을게 많더라구요

중국 음식, 문화, 옷, 예절이나 등등 중국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좀 써주세요^^*

정말 내공 다 걸어씁니다@

부탁할게요!!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 #중국 문화에 대한 관심 #중국 음식 문화에 대한 이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월남의 외래문화 - 중국문화의 유입


 

◎ 중국문화 유입으로 인한 베트남 문화의 변화와 중국에 대한 그들의 태도

베트남과 중국은 지리상으로 국경이 근접해 있다. 따라서 베트남은 대국인 중국문화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베트남은 중국문화(외래문화)의 유입에 있어 더욱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베트남 문화에는 중국적인 요소가 많이 엿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베트남의 문화는 그들 고유의 문화에 중국의 문화가 혼합된 형태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문화의 유입은 비단 베트남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지역에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남아시아의 문화를 논할 때 그들 고유의 문화(토착문화)와 외래문화(중국문화)를 동시에 다루게 된다. 여기서는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중국과 근접해 있는 베트남 문화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단순히 베트남 문화 속에서 중국적인 요소만을 찾는데 급급하지 않고 그들이 중국문화를 수용하는 방식이라든지 중국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정리해 봄으로써 베트남 문화수용의 다양한 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 베트남 문화에서 엿보이는 중국적 요소

베트남의 고유문화, 즉 중국문화가 유입되기 이전의 문화와 중국문화가 베트남 사회로 들어와 혼합된 문화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는 그러한 문화가 잘 혼합되어 그것이 또 하나의 베트남 문화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베트남 문화에서 엿보이는 중국적인 요소로는 기본적으로 군주를 '호앙·데'라고 부른다든지 이후 중국문화의 유입에 따른 기존 질서의 변화(兩系制→父系制)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적인 요소가 베트남 문화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기본적으로 사회 자체를 변화시키기에는 많이 부족한 듯 하다. 물론 그것이 베트남 사회가 가지고 있는 중국에 대한 자신들의 위치나 그에 따른 그들의 노력이 수반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베트남 문화에서의 중국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베트남의 사회에서 엿볼 수 있는 중국적인 요소에 관한 부분에서 내가 특히 관심을 가진 부분은 '베트남 사회의 兩系的 性格과 여성에 지위'에 관한 것이었다. 이유는 중국의 유교문화가 베트남 고유 사회의 기존 질서를 확연히 변화시키지는 못했다는 것과 아직까지도 베트남 사회에서는 양계적인 요소가 엿보인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兩系制'와 여기서 보이는 여성의 지위는 상당히 흥미로웠다. 14세기 이전까지는 베트남에 있어서 중국문화의 영향은 상당히 미미한 정도에 머물렀다. 그러나 15세기 초 레王朝가 성립되면서 부터 상당한 정도로 보급되어졌다. 물론 15세기도 중국문화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해 사회질서가 변화된 것은 대체로 찾아보기가 힘들다. 직접적으로 중국적 유교문화의 영향이라 할 수 있는 父系制가 사회질서로 자리잡은 것은 19세기에 와서의 일이다. 베트남은 양계제 사회로서 여성의 지위가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는데, 놀라운 것은 이혼이나 상속, 또는 경제적인 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우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여성의 사회적 중요성과 높은 지위는 오히려 베트남 사회에서 급격한 이혼문제 등을 수반하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베트남 의 고유한 사회질서에 중국적인 요소, 즉 유교의 영향으로 인해 쉬운 남녀의 어울림이 부도덕한 것으로 인식되고 또한 兩系制가 父系制로 변화하게 되었다. 또한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베트남사회가 부계중심적으로 바뀌면서 점차 부거제(父居制)로 옮겨갔다. 그러나 중국의 문화 유입으로 인해 베트남 문화가 완전히 중국적인 요소만을 갖춘 것은 아니며, 아직까지도 베트남의 고유한 사회질서가 잔존하고 있다. 여기서 살펴본 양계제가 부계제로 변화한 것 이외에도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보이는 것은 베트남 고유의 왕권 개념이 점차 퇴조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말해주는 것이 베트남 사회는 예로부터 용신앙과 민간신앙이 결합되어 사회 곳곳에서 나타났다. 이들의 용신앙의 한 예로 그들은 용문신을 통해 자신들의 안녕을 기원하였으나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용문신이 소멸되었다. 이상이 베트남 사회에 영향을 미친 중국문화의 간략한 예이다. 양계제가 부계제로, 왕권 개념의 퇴조가 중국문화 유입의 기본적인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 이외에도 중국과 베트남은 지리적인 관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숱한 영향을 받아 온 것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면 이제 이러한 중 국문화에 대한 베트남사회의 태도와 중국에 대한 인식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기로 한다.

◎ 중국문화유입에 대한 베트남 사회의 태도와 중국에 대한 인식

중국에 대한 베트남의 태도를 논하려면 먼저 중국과 베트남이 전쟁으로 엮어진 관계라는 점을 먼저 인식해야 할 것이다. 놀라운 사실은 월남의 마지막 왕조인 院朝를 제외하고는 모든 왕조가 최소 한번씩은 침략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침략은 전부가 실패로 끝났다. 이와 같은 역사적인 사실에서 볼 때 중국에 대한 베트남의 태도는 아주 강력한 것이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베트남이 중국과의 朝貢관계에 놓여서도 끝까지 대등한 위치에 놓이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모습은 중국문화의 유입에서도 나타나 그들의 독자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중국문화를 받아들이고, 그러한 문화나 정치, 제도를 맹목적으로 따르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즉 베트남은 소국이 대국에 대한 禮를 차리는 정도였을 뿐 屬國과 같은 그런 태도는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놀랍게도 중국문화의 유입이 많았음에도 베트남 사회는 아직까지도 그들의 고유문화를 나름대로 잘 지켜내고 있는 느낌이다. 중국과 베트남의 관계에서 쓰이는 표현처럼 '相克과 依存의 歷史'라는 말에 쉽게 공감이 가는 바이다. 이 보고서를 준비하는 동안 내 머리 속에서 가장 뚜렷하게 정리되는 것은 바로 베 트남의 중국에 대한 태도였다. 굽혀야 하는 상황 속에서는 베트남은 대등한 관계를 원하는 노력이나 모습이 엿보인다는 것이다. 그러한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베트남 사서에 등장하는 군주의 실제 이름과 중국측 기록에 나타나는 이름 사이에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베트남 군주가 중국에 대해 자신을 비하하지 않기 위한 방편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太上皇制가 있다. 이 또한 중국 황제에 대해 자신을 비하하지 않기 위한 방법이었다. 이것을 노력이라 표현하는 이유는 그들은 되도록 대등한 위치를 점하고자 하였으며 그로 인해 이러한 방법들이 나타난 것이라 생각한다. 베트남문화는 분명히 고유문화와 외래문화(중국문화)가 혼합된 형태이다. 그러나 여기서도 그들의 태도는 맹목적인 추종이 아닌 자신들의 문화를 지키고 그 위에서 수용하는 형태인 듯 하다. 물론 이러한 태도는 그들의 역사와 지리적인 위치에서 보이는 중국과의 관계 때문일 것이라 생각한다.

◎ 베트남 사회의 외래문화 유입에 관한 나의 견해

이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동남아시아의 문화에 대해 상당히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이 보고서가 베트남에 관한 것이어서 특히 베트남의 여성의 지위라든지 중국문화와 중국에 대한 그들의 태도에 대해 많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많이 놀랐다. 베트남이라는 나라, 즉 동남아시아라는 사회가 단순히 大國에 의한 착취의 역사를 간직한 사회로만 보아오던 나로서 베트남의 중국에 대한 태도는 상당히 놀라웠던 것이다. 그들은 속국이 아닌 대등한 나라로서 그들이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해왔으며, 그들의 역사를 보더라도 중국이라는 大國에 대해 결코 부끄럽거나 아쉬운 점이 없을 듯 하다. 대항하고 때로는 의존하며, 그러나 결코 굽히는 것이 아닌 그러한 생각과 노력들이 중국문화, 즉 외래문화의 유입에서도 꿋꿋이 그들의 문화를 지켜나갈 수 있는 힘이었던 것이다.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단순히 중국문화를 배우고 맹목적으로 따랐을 것이라는 생각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를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들의 사회질서나 문화들이 그들에게는 떳떳한 것인지도 모른다.(처음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여성의 지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단순히 후진국의 특징으로 치 부해 버렸었다.)

☞ 이상이 '외래문화-중국문화의 유입'에 관한 보고서이다. 처음에 생각했던 부분과 많이 달랐고, 동남아시아 사회의 중국적인 요소를 찾고자 것이 보고서의 핵심이라면 그 의도와 많이 벗어나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 이상 내 나름대로 베트남 사회에서 그들이 갖는 중국에 대한 태도를 정리하고자 했음을 밝히고 싶다.

♣ 참고문헌 :

·秦漢時代의 越南

·베트남의 傳統的 王權槪念

·前近代 베트남사회의 兩系的 性格과 女性의 地位

·越南人과 中國人

이상 유장근편, {東南亞細亞史論文選集} (上)(경남대학교 사학과, 1999) 참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국 문화에는 대표적으로 소림사, 쿵후 차등이 있는데요(죄송 사진은 못올림)

1)소림사와 쿵후
한국을 대표로 하는 국기(國技)로 태권도가 있다면 중국에는 쿵후가 있다.
무협 영화를 상징하는 사람을 날려버리는 장풍과

하늘을 나는 경공술, 거기다 각종 화려한 권법과

현란한 몸놀림은 이소룡과 이연걸 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소림사를 둘러싼 신화적인 역사는 적지 않지만 당 태종이 즉위할 당시
반대한 세력에 의해 일촉즉발 위기 하에 있을 때 홀연히 나타난

소림사 무술승들이 신기한 동작과 장풍으로 수백 명을 물리쳤고
그 때문에 중국최대의 사찰로 성장한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후 명나라가 망하고 청이 건국 됐을 때도 서양풍 반대 운동의 근거지로 떠올라
당시 민중들에게는 깊은 신뢰와 감동을 주었고 
소림사 승려들이 익히던 무술도 민간에 빠르게 전파 되었다.

그러나 폐찰되어  무술의 명맥이 끊기는 위기도 여러 차례 있었다.

지금은 세계각처에서 몰려온 수천 명의 젊은이들이 연마 한다는 소림무술은 
중국무술의 기본을 관통하는  하나의 정신으로 소림사의 명성을 드높이고 있다.

2)중국의 차문화

아침 한잔에 온몸에 힘이 넘치고, 점신 차 한 잔에 일이 가뿐하며,
저녁 차 한 잔에 기운이 나서 고통이 사라진다는 속담은
하루도 차 없이는 못사는 민족 중국인들의 차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오래됐다는 중국의 차 문화
그 은은한 향을 음미해 볼까요?
유구한 중국사만큼 오래 됐다는 중국차는 그 종류만도 100 여 가지

녹차나 홍차나 화차 등의 이름은

찻잎을 따는 시기나 색깔 형태 생산지 등에 따라 붙여지며. 
당나라 때 서양에 전해진 이래 유럽에서도 특별한 기호 식품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중국차는 특히 생산량뿐만 아니라 베트남 인도 등지를 제치고
품질 면에서도 단연 으뜸입니다.

기차 안이나 학교 등은 물론 공원을 산책하는 노인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보원 병은 일상에서 차의 의미를 짐작하게 합니다.

가정에서도 손님을 대접할 때 제일 먼저 차를 내오며 
어떤 차를 대접 했느냐 로 그 집안에 부유함을 판단하기도 합니다.

그럼 중국인들은 왜 이토록 차를 즐겨 마시는 걸까요?
차는 갈등 해소와 소화 작용을 돕고 카페인 성분이 머리를 맑게 해주고 튀기고 볶는
중국요리의 느끼한 맛과 기름기를 제거 해주는 맛이 있습니다.

또 설화 속에 종종 수명 연장의 비밀로도 등장합니다.
최근에는 각종 비타민이 들어있어 암 예방에도 제격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
이쯤 되면 안 마시고는 배기지 못하겠지요?

서로 가까운 친지들끼리 모여서 차를 음미하고 나뉘는 일을
인생의 가장 유쾌한 일이라고 말하는 중국인들의 차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당연한일이다. 
 중국은 차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차는 빠뜨릴 수 없는 필수품이다.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중국의 차는 녹차,
홍차 그리고 꽃을 말려 제조하는 화차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4천여 년 중국의 유구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중국인의 차 마시는 습성은 매우 다양하다.


중국이들은 보통 식사 후나 한담할 때 차를 많이 마시는데,
보편적으로 따뜻한 차를 마시고 차가운 차는 마시지 않으며,
이야기를 나누면서 작은 잔에 한 잔 한 잔 따라 마신다.
 
이렇듯 차를 마시는 것은 중국인의 일종의 습관이요 하나의 문화이다.
차 한 잔에 중국인의 짙은 향취를 느껴보면 어떨까?
 

중국 문화에 관해 구체적으로

... 관한 구체적인 내용좀 써주세요^^* 정말 내공 다 걸어씁니다@ 부탁할게요!! 월남의 외래문화 - 중국문화의 유입 ◎ 중국문화 유입으로 인한 베트남 문화의 변화와 중국에 대한...

중국유학에 관해 구체적인 조언...

... 별로 전공은 하고싶지않아서, 중국영화를 너무 좋아하고 또한 중국 문화를 사랑해서 중국어를 전공하려고합니다. 일단.. 통역사가 되겠다는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유학을...

중국 전체역사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요

... 이름을 구체적으로 적어 놓은 것을 역사라고 가르쳐온... 중국문자형의 변화에 관해 오랜 세월에 걸쳐 연구한... 周代는 중국 문화사가들이 고전시대라고 부르며 그리스의...

중국 소개

...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 장어계(漢藏語系)에 속하는 것이 가장... 경제에 관해서는 거의 정체상태이었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이미 실패한 대약진...

중국역사에 관해 긴 질문 드립니다.

중국역사에 관해 질문드릴게요. 제가 삼국지를 읽는... 않아서 구체적인 조사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은나라(B.... 앞서 얘기했듯이 당은 중국 문화의 완성시기랍니다....

세종대왕 질문

... 폐립에 관해 의론이 분분하였다. 그러나 태종의 마음은... 관한 구체적인 조옥도(造獄圖)를 각 도에 반포했고, 세종... 판단력, 중국문화에 경도(傾倒)되지 않은 주체성과...

세종대왕 관련 글쓰기

... 폐립에 관해 의론이 분분하였다. 그러나 태종의 마음은... 관한 구체적인 조옥도(造獄圖)를 각 도에 반포했고, 세종... 판단력, 중국문화에 경도(傾倒)되지 않은 주체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