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기본 예절(내공15드림)

설날 기본 예절(내공15드림)

작성일 2007.02.16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전 4학년(이젠) 인데요..

곧 설날이자나요;;

그래서 설 기본 예절을 좀 알려구욧

그리고 이제 고학년인데..

그런 것 쯤은 알아야 되자나욧..

질문 할 것 적어 드릴께요~

마니 답변 해 주세여^^ 내공 15 드림..

 

1.새배 하는 법 (간단하게)

2.설날에 어른들께 하는 말

3.설 기본예절 등등..

 

많은 답변 해 주세요^^   아!설날까지는 해 주셔야 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님이 여자분이신지? 남자분이신지?

 

- 한복 입는 법-

 

 

※ 남자 한복 입는 순서


① 내의나 속고의를 입는다.


② 바지를 입는데,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 한다.


③ 저고리를 동정니가 잘 맞게 입는다.


④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⑤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⑥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⑦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

 

(세배를 할 때 남자는 두루마기를 착용하고

여자는 벗는 것이 바른 예법입니다 ^^)

 

 

※ 여자 한복 입는 순서


① 치마를 입는다. 치맛자락이 왼쪽으로 마무리 되도록 정리한다.


② 치마를 고정시키는 끈은 치마 중심에서 단단하게 묶어준다.


③ 속저고리와 저고리를 입고 동정과 깃의 모양이 틀어지지 않게 매만져 준  

    다. 고름을맨다. 짧은 고름을 올려 한번 묶는다.


④ 묶은 짧은 고름 자락으로 고를 만들어 준다.


⑤ 긴 고름을 고 속으로 넣어 고름을 완성시킨다.


⑥ 버선을 신는다. 이 때 버선코가 정중앙에 오도록 유의해서 신도록 한다.

 

 

※ 한복 차림 시 주위사항


① 신발은 꼭 한복에 맞는 고무신, 비단신, 가죽신을 신어야 한다.


② 치마가 땅에 끌리지 않게 입는다. 바닥에서 2~3cm정도 떠서 신발코가

    약간 보이는 게 적당하다.


③ 손가방은 한복 전용 백을 사용한다.


④ 한복을 입었을 때의 자세는 절대로 뒤로 젖혀서는 안된다.

     다소곳하게 약간 앞으로 숙이는 듯 한 자세를 취해야만 보기가 좋다.

 

 

 

- 세배 하는 법-

 

 

세배와 공수법(拱手法)

 

새해 아침에 차례가 끝나면 마을의 어른들을 찾아뵙고 새해의 복을 빌며, 덕담을 나누는 인사의 관습은 오늘날에도 아직 남아 있다. 그런데 이 세배도 절하는 법을 모르면 의미가 많이 퇴색될 수 있다. 절하는 법 즉, 공수법을 알아보자.

 

손은 공손하게 맞잡아야 하며 손끝이 상대를 향하게 하지 않고,

누워있는 어른에게는 절대 절하지 않는다.

 

흔히 어른에게 "앉으세요", "절 받으세요"라고 하는데 이는 명령조이기 때문에 좋지 않다. "인사드리겠습니다"라고 하는 것이 좋다.

 

 세배를 하면서 흔히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등의 말을 하는데 이것은 예절에 맞지 않는다.

 

절을 하는 사람이 아랫사람이라도 성년이면 그를 존중하는 대접의 표시로 답배를 하도록 한다.

 

세배를 한 뒤 일어서서 고개를 잠간 숙인 다음 제자리에 앉는다. 그러면 세배를 받은 이가 먼저 덕담을 들려준 후 이에 화답하는 예로 겸손하게 얘기를 하는 것이 좋다. 덕담은 덕스럽고 희망적인 얘기만 하는 게 좋으며 지난해 있었던 나쁜 일은 굳이 꺼내지 않는 게 미덕이다.

 

공수법이란 어른 앞에서나 의식 행사에 참석했을 때 공손하게 손을 맞잡는 방법을 말한다. 공수의 기본 동작은 두 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편 다음, 앞으로 모아 포갠다. 그리곤 엄지손가락은 엇갈려 깍지 끼고 식지 이하 네 손가락은 포갠다. 또 평상시에는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하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한다. 사람이 죽었을 때(흉사시:兇事時)의 손잡는 법은 남녀 모두 평상시와 반대로 한다.

 

 

절의 요령과 횟수

 

1. 산 사람에게 하는 절은 한 번.

   돌아가신 신위에 대한 절은 두 번이 기본 횟수이다.


2. 절의 종류와 횟수는 절을 받을 어른이 시키는 대로

     변경하거나 줄일 수 있다.

 

3.절하는 사람이 "앉으세요." "절 받으세요."라고 말하는 것은 실례이다.

 

4.잘 받으실 분이 여럿일 경우는 가장 윗분부터 먼저 한다.

 

5.맞절의 경우 : 아랫사람이 하석에서 먼저 시작해 늦게 일어나고,

                            웃어른이 상석에서 늦게 시작해 먼저 일어난다.


6.답배의 요령 :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답배를 할 때는 아랫사람이 절을

                            시작해 무릎을 꿇는 것을 본 다음에 시작해 아랫사람이 일어

                            나기 전에 끝낸다. 비록 제자, 자녀의 친구, 친구의 자녀 및

                           16년 이하의 연하자라도 아랫사람이 성년(成年)이면 반드시

                          답배를 한다.

 

 

 [남자가 큰절하는 법]


① 절하는 예절은 공수에서 시작된다. 공수한 자세로 절할 대상을 향해 선다.

    -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② 엎드리며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③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 남녀 모두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④ 왼발이 아래로 발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 남자는 왼발을 아래로 오른발을 위로 하여 발등을 포개고 앉는다.
    - 발뒤꿈치에 닿을 만큼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⑤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가 손등에 닿도록 머리를 숙인다.
    - 숙이고 잠시(1-2초) 머물렀다가 일어선다.


⑥ 고개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⑦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⑧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 무릎 위에 놓는다.


⑨ 오른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 양발을 가지런히 모은다.


⑩ 바른 자세로 섰다가 잠시 후 앉는다.

 

 

[여자가 큰절하는 법]


①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에서 수평이 되게 올린다.


②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댄다.


③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어앉는다.


④ 여자도 무릎을 세우지 않으며, 오른발을 아래로 왼발을 위로 하여 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⑤ 상체를 앞으로 60도쯤 굽힌다.

 

⑥ 상체를 일으킨다.


⑦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⑧ 일어나서 두 발을 모은다.


⑨ 수평으로 올렸던 공수한 손을 내린다.


⑩ 바른 자세로 섰다가 잠시 후 앉는다.

 

 

[ 여자 평절 하는 법 ]

 

 ① 포개어 잡은 손을 풀어 양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려 드리운다.

 

②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③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④ 오른쪽 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⑤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모아서 손끝이 밖(양옆)을 향하여 무릎과 가지

     런히 바닥에 댄다. (엄지를 모은다).

 

⑥ 윗몸을 반쯤(45°)앞으로 조아리며 손바닥을 바닥에 댄다(엉덩이가 들

      리거나 어깨가 솟      아 목이 묻히면 안 되므로 팔꿈치가 약간 굽혀져도

      좋다)

 

⑦ 윗몸을 일으키며 손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⑧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⑨ 일어나서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⑩ 손을 포개어 잡고 원래 자세로 돌아간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특하네요~ 이제 고학년이니까 세배 잘해서 돈 왕창받으세요~^^*

 

1.세배하는법

 

- 남자

 

 

①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손을 포갠다.)
② 마주잡은 손을 가슴높이로 올리고 왼발을 뒤로 약간 빼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손을 벌리지 않는다.)
③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앉아 오른쪽 발이 왼쪽 발 위로 오게 발을 포개고,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댄다.
④ 상체를 일으키고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선 다음, 반절을 한다

 

 

- 여자


 

 

① 공수하고 대상을 향해 선다.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두손을 포갠다)
②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 후,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인다.
③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오른발을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갠 후,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④ 윗몸을 45도 앞으로 굽힌 후, 잠시 머물러 있다가 오른쪽 무릅을 먼저 세워 윗몸을 일으킨다

 

 

 

2.설날에 어른들께 하는 말

 

글쎄요 , 어린이들은 따로 어른들께 하는 말이 없습니다.

 

그냥 , 어른들이 해주는 말씀 하나 하나 귀 기울여 들으면서

 

" 네. 앞으로 공부 열심히 할께요 " 라던가 하는 식으로

 

덕담을 좋게 받아들이는게 최우선이겠죠.

 

 

3.설 기본예절

 

친지를 방문할때 , 전날에 미리 방문 시간과 방문할 사람 수를 알려두는 게 좋습니다.

 

방문 시간은 점심식사 시간을 피해 오후 3~4시 때를 택하고 머무르는 시간은

 

차 한잔 마시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30분 ~1시간이 적당합니다.

 

세배할 때 저지르기 쉬운 결례는 절을 하면서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등의

 

덕담을 하는 것. 덕담은 반드시 절을 마친 후 제자리에 앉고 나서 절받는 사람이

 

먼저 덕담을 한 후에 이에 답하는 형식으로 해야합니다.

 

50대 어르신에게는 ' 만사형통하세요 ' 60대 이상에게는 ' 만수무강하세요 ' 가

 

적당합니다.

 

 

이정도면 , 설에도 예절 잘 지키실 수 있으시겠죠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살아 있는 사람에게 절하기


살아있는 사람에게 절을 할 때는 읍이 없으며, 남녀 모두 한 번 절을 한다. 살아있는 사람에게 절을 할 때 지난날 왕에게 올렸던 절하기를 하면 안 된다. 서서 두 손을 가슴까지 올렸다가 손을 내리고 허리를 굽히는 절하기가 왕에게 올리는 신하절(臣下拜)이다. 그런데 요즈음 도덕교과서는 신하절을 남자절(男子拜)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여자가 절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그 하나가 평절이고, 다른 하나가 큰절이다. 여기서 사용된 평(平)이라는 글자는 ‘쉬울 평’ 자다. 쉽게 하는 절, 편하게 하는 절을 평절이라 한다. 두 손 끝을 양쪽으로 내려서 세운 채로 땅바닥에 닿게 하고, 오른쪽 다리는 세우고 왼쪽 다리는 굽히고 머리를 숙여 절하는 것이 평절이다.


큰절은 두 손 끝을 맞닿도록 하여 이마에 올리고 땅바닥에 앉아 두 다리를 자기 앞으로 끌어당기고서 허리를 굽혀서 머리를 숙이는 절하기다. 여자의 절하기는 생과 사로 나뉘어 지는데, 산 사람에게는 평절을 하고 상례와 제례 때에는 큰절을 한다.


그러나 두 가지 예외가 있다. 혼인대례 때 신랑을 보고 큰절을 하고, 시집가서 며느리 자격으로 시아버지, 시어머니를 처음 뵙게 되는 때에 큰절을 한 번 한다. 그 뒤부터는 시부모에게도 평절을 한다.


큰절을 할 때 다리를 남자처럼 해서 절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이다. 옷차림이 절하기에 맞지 않은 짧은 치마를 입기 때문이다. 큰절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데 옷차림도 챙기지 못한다면 곤란하다.



어버이에게 절하기


살아 계신 직계 윗대와 어버이에게 절하기는 ‘정강이 절하기’, ‘손바닥 절하기’가 있다. 하늘이 보이면 ‘정강이 절’을 하고, 집안에서는 ‘손바닥 절’을 한다. ‘정강이절‘은 두 손끝이 정강이에 오도록 허리를 굽혀 하는 절이다. 무릎을 꿇고 바닥에 두 손을 앞으로 내어 밀어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짚고 머리를 아래로 수그렸다가 일어나서, 어버이 앞으로 다가가 꿇어앉는 것이 ‘손바닥 절하기‘다.


직계 어른에게는 문밖에서 절을 한다. 서서 허리를 굽혀서 꿇어앉고 두 손을 앞으로 내어 들입자(入字) 모양으로 절을 한다. 좌우 둘째손가락이 서로 맞닿게 한다. 반쯤 일어나서 또 꿇어앉는다. 손은 포개면 안 된다.

 

그러나 방계 어른에게 절하기는 직계와 다르다. 좌우 둘째손가락 사이에 거리가 있도록 하여 손을 팔자모양(八字型)으로 내밀고 절을 한다. 아버지 형제에게는 좌우 두 손가락 사이 거리가 3cm 쯤으로 된다. 이것을 두고 양수팔자형배(兩手八字型拜)라 한다.


학생이 스승에게 올리는 절하기는 좌우 둘째손가락 사이 거리를 5cm 쯤으로 한다. 종질이 5촌에게 올리는 절하기는 좌우 둘째손가락 사이 거리를 7cm 쯤으로 한다. 서로 비슷한 나이 사람들 끼리 절하기는 좌우 둘째손가락 사이 거리를 30cm 쯤으로 한다. 절하기에서 좌우 둘째손가락 사이 거리는 공경을 나타내는 잣대로 된다.


벗들 사이에 하는 손바닥 절은 여덟 팔(八) 자가 벌어져 내 천(川) 자 모양이며 머리를 바닥으로 수그리지 않고, 서로 마주 보면서 말을 한다. 그러나 직계와 어버이에게 절하는 동안은 절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 반면, 살아 있는 사람이지만 몸이 아파 누워 있는 사람에게는 절을 하지 않는다. 



죽은 사람에게 절하기


제사를 모시는 절하기는 산 사람에게 하는 절하기와 조금 다르다. 생사유별이다. 슬픈 제사인 기제사 때에는 ‘손바닥 절하기‘에서 두 손이 포개어 지는데 왼손이 오른손 위에 놓이게 된다. 슬프지 아니한 명절제사 때에는 오른손이 왼손 위에 놓이게 된다.


제사 때 남자는 절을 하고 난 후에 ‘읍‘을 한다. 이런 절하기를 ‘선배후읍‘ 이라 한다. 제사를 모시는 절하기는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을 한다. 그러나 남자와 여자는 절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다. 해서 남녀 모두 두 번 해도 된다.


그런데 요즈음은 세배를 드릴 때 제사 절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손을 포개야 하는데 남자와 여자가 손이 포개지는 것이 다르다는 것이다. 하지만 산 사람에게는 손을 포개지 않는다.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에 대한 예의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다.

 

왕에게는 선읍후배, 혼례 때는 선읍후배를 한다.

세배는 남자는 읍이 없는 손바닥절이고, 여자는 평절을 한다.

기제사 때 남자는 선배후읍이며, 왼손이 위, 여자는 큰절을 한다.

명절제사 때 남자는 선배후읍이며, 오른손이 위이고, 여자는 큰절을 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잘은몰르겠지만 ㅋ.ㅋ.ㅋ.그냥 써봤어요 에절 뭐 그냥 사람에게피해만 안주면 되잖아요...ㅋㅋㅋㅋㅋㅋㅋ

 

설날 기본 예절(내공15드림)

... 질문 할 것 적어 드릴께요~ 마니 답변 해 주세여^^ 내공 15 드림.. 1.새배 하는 법 (간단하게) 2.설날에 어른들께 하는 말 3.설 기본예절 등등.. 많은 답변 해 주세요^^ 아!...

정했는지 가르켜 주세요,내공 100드림

설날, 대보름, 삼짇날, 단오, 삼복, 추석, 동지의 날짜와 왜...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 대사회로부터 풍농을... 8월 15일인 추석이 큰 명절로 여겨진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인터넷예절15가지이상

... ㄳ드림 오늘내로부탁,, 인터넷의 발달로 이제 전세계... 인터넷 예절인 '네티켓'에 대한 바람이 일고 있다.... 그게 바로 네티켓의 기본이며 전부다. 맜있는 내공 냠냠~~!@

우리생활에 이용되는 예절,법 10가지...

... 내공냠냠 사절이요~!!! 생활예절 I. 자기관리(自己管理), 개인예절(個人禮節) 1.... 내지 15년 사이에 드는 연상?연하자와의 상호 칭호 ④ 형님?형 : 자기와 6년 내지 10년 사이에...

미국 동부 여행 질문이여. 내공드림.

... 그리고 음식점에 대한 기본 예절좀 알려주세요.. ㅋㅋ 그리고 기타 한국인이 알지... 점심에는 주문하신 음식가격의 10~15%, 저녁에는 20% 수준으로 팁을 챙겨 주셔야 합니다....

선생님께지켜야할예절 //좀 빨리좀

... 내공 팍팍 드림.. 제발 빨리요/ 스승을 대하는 예절에... 부모에게도 그러하듯이 스승을 대하는 기본 마음도... 4) 선생님께 인사 등·하교시 선생님을 만나면 15도 정도 허리를...

일본의 색다른 문화예절

학교에서 숙제로 색다른 문화예절을 조사해오라는데요... 합니다 내공은 100겁니다 일본, 기모노 1868년, 메이지... (성혼술)'나 설날에 마시는 '토소'는 하나의 잔을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