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수령 관련, 퇴사 시 고용주(회사)가 피고용인에게 실업급여 관련...

실업급여 수령 관련, 퇴사 시 고용주(회사)가 피고용인에게 실업급여 관련...

작성일 2022.09.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실업급여 수령 자격 관련,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표2 근로자의 수급자격이 제한되지 아니하는 정당한 이직사유
6. 부양하여야 할 친족과의 동거를 위한 거소 이전
7. 부모나 동거 친족의 질병,부상으로 인하여 30일 이상 본인이 간호해야 하는 기간에 기업의 사정상 휴가나 휴직이 허용되지 않아 이직한 경우.

에 제가 해당하여 종전 직장을 해당 이유로 금년도 5월 15일경 퇴사하게 되었습니다.
(5월 6일경 본가에 계신 할아버지께서 건강이 급격히 안좋아지셔 입원하셨던 이유)

저는 통산 피보험 단위기간 194일으로 실업급여 수령을 위한 기본조건에 해당하는데,
퇴사 절차 진행 당시에는 상위 별표 수칙과 같은 관련 내용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않았고,
사내 인사부 문의 당시에도 ‘어떤 이유로든 자진퇴사는 실업급여수령이 불가능하다’고 답했기에
일반 직원의 입장에서, 인사부에서 안 된다는데 다른 생각을 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결국 퇴사 후 3개월이 흐른 지금 우연치않게 관련 예외자격사항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종전회사에 이직확인서 및 상실신고를 신청하였고 실업급여 수령 심사 예정에 있습니다.

해당 과정을 처리하며 문득 드는 궁금증은
혹시 회사(고용주)가 피고용인에게 실업급여 수령자격에 대한 안내를
마땅히 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는 명문상의 규정이 있는지
혹은
자진퇴사여도 가능한 예외사항이 명문상에 존재하는데도 그것을 제대로 인지하지 않고 자진퇴사는 무조건 안된다고 사실을 잘못 안내하여 오인하게 한 인사부 직원의 행동이 관련법에 저촉되는 사항은 없는지, 해당 행동이 법령 위반으로 해석될 수 있는 명문 상 법령이
고용보험법 및 기타 관계법령 (민법 등 ) 존재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일반인도 아니고 회사의 인사부 직원이 자신의 업무에 관하는 법규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도 못 한채로 잘못된 안내를 해 놓고서는 이제와서야 퇴사자에게 실업급여에 대해 안내해야 할 의무가 없었다며 당당하게 말하는 등, 잘못한 것 없다는 듯 말하는 것이 저로서는 상당히 괘씸하여 관련법상의 근거가 있다면 꼭 인지시켜주고 싶습니다.

물론 통상적으로 일반인의 관점에서는
‘자진퇴사’ 의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령 자격에 충족되지 못한다는 인식이 강해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한 것이었을지언정 자진퇴사라면 당연히 실업급여 수령이 불가능할 것이다
라고 단순히 생각하고 넘길 수는 있지만,

사내의 인사부는 입,퇴사 등 직원들의 인사 관련 업무를 전문으로 처리하는 부서로써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표2처럼 회사의 파산, 해고, 권고사직등이 아닌 개인적인 이유로도
더 이상 근무를 이어나갈 수 없는 특별한 상황이 존재했기에 퇴사를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라면
비록 퇴사 사유 코드는 개인사유로 인한 자진퇴사 (11)이더라도 그 실업급여 심사를 신청이라도 해 볼 이유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는 것의 근거가 되는
관련법 명문상의 내용을 충분히 인지하고 퇴사예정자에게 안내를 할 의무가 마땅히,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부서라면 당연히 그 의무가 있는 것이라고 사료되는 데 그렇지 않습니까.

혹시 해당 상황에 적용되는 관계법령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실업급여 수령기간 #실업급여 수령액 #실업급여 수령일 #실업급여 수령 #실업급여 수령 조건 #실업급여 수령방법 #실업급여 수령중 취업 #실업급여 수령액 계산 #실업급여 수령 중 알바 #실업급여 수령금액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한국공인노무사회- 상담 공인노무사 김정식 입니다.

회사 인사담당자가 관련 법률을 안내할 의무는 근로기준법 등 명시적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법률은 국가가 공포함으로써 국민들에고 공지가 되는 것이므로 그것으로 국가의 행위는 족한 것입니다. 민간 기업의 담당자는 당연히 법률을 안내할 의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근로기준법에는 특별히, 근로기준법과 취업규칙을 근로자가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여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를 "게시 의무"라고 합니다. 즉, 근로기준법을 게시 해 두기만 하면 됩니다.

반면, 고용보험법은 그런 규정이 없는 것으로 압니다. 그러니 고용보험법의 세부 규정을 알려줘야 할 의무 자체가 없는 것으로 해석해야합니다.

회사 인사담당자로서 직원에 대한 안내가 부족한 것은 회사 내부적으로 업무능력이나 성실성 등의 문제는 있을 수 있으나 법적인 책임은 없을 듯합니다.

개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회사 퇴사 시 실업급여 및 퇴직금

안녕하세요 회사 퇴사 시 실업급여 및 퇴직금 관련 문의드립니다 직원수 4명의 작은 회사를 다니고 잇는데요, 1. 회사 경영이 어려워서 이사람을 그만 고용하겠습니다, 라고...

실업급여 관련 문의 (A회사, B회사, C회사)

안녕하세요 실업급여 관련 문의 드립니다. A 회사에서 1년여간 근무 했고 퇴직금도 수령받았습니다. 7.31일자로 퇴사하였고 그 이후 8.7일부터 올리브영에 아르바이트를 하게...

주휴수당미지급과 신고시 실업급여 관련

... 1,649,450원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지만... 자진퇴사이지만 주휴미지급으로 신고시엔 실업급여... 신고시 실업급여 관련 안녕하세요 9-16 주5일 근무자입니다...

일반회사다니는중 실업급여 ~관련

4대보험있는 일반회사다니다 1년정도되서 권고사직을ᆢ퇴사시 실업급여받을수있잔아요... 이런경우 실업급여를못받나요 [답변] ✔실업급여 수령 금액이나 기간에 대한 차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