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결정권에대한 헌법

자기결정권에대한 헌법

작성일 2024.04.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기 결정권에 대한 내용이 들어가있는 헌법은 몇조몇항인가요? 그리고 헌법상 ’개인은 자신의 몸과 생명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내용이 있는 조항이 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헌법 12조와 19조 입니다.

제12조 ①모든 국민은 신체의 자유를 가진다. 누구든지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체포ㆍ구속ㆍ압수ㆍ수색 또는 심문을 받지 아니하며, 법률과 적법한 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처벌ㆍ보안처분 또는 강제노역을 받지 아니한다.

②모든 국민은 고문을 받지 아니하며, 형사상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요당하지 아니한다.

③체포ㆍ구속ㆍ압수 또는 수색을 할 때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 다만, 현행범인인 경우와 장기 3년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하고 도피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사후에 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④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때에는 즉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다만, 형사피고인이 스스로 변호인을 구할 수 없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가 변호인을 붙인다.

⑤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고지받지 아니하고는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하지 아니한다.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자의 가족등 법률이 정하는 자에게는 그 이유와 일시ㆍ장소가 지체없이 통지되어야 한다.

⑥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때에는 적부의 심사를 법원에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⑦피고인의 자백이 고문ㆍ폭행ㆍ협박ㆍ구속의 부당한 장기화 또는 기망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자의로 진술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될 때 또는 정식재판에 있어서 피고인의 자백이 그에게 불리한 유일한 증거일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삼거나 이를 이유로 처벌할 수 없다.

제19조 모든 국민은 양심의 자유를 가진다.

’개인은 자신의 몸과 생명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낙퇴죄에 대한 헌법

... 에 대한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린 헌법재판소(2017헌바127, 2019.4.11.) 다수의견과 소수의견의 논거가 무엇인가요? 1. 다수 의견 논거: 임신한 여성의 자기 결정권 침해...

사회질문.

... 예를 들어, 2015년에는 간통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이 이루어졌습니다. 헌법재판소는 간통죄가 국민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습니다. 2....

헌법소원심판 종류!!

... 종류를 알려주세요 근거도 꼭 알려즈시고요!! 종류: 권리구제형 헌법소원 근거: 공권력의 행사(합헌 결정)로 인한 기본권 침해(개인 정보 자기결정권의 침해)에 대한 헌법소원

지문날인에 대하여 헌법소원청구가...

... 28.에도 지문날인제도 전반에 대한 헌법소원에 대한 합헌결정(2011헌마731)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간통죄는 여자에게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 성적 자기결정권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다'며 '선량한 성도덕과 일부일처제... 2001년에도 간통죄에 대한 헌법소원에서 헌법재판소는 1990년과 93년에 이어 이번에 세번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