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에서 4P. 6P의 장단점을 국산차, 수입차 사례들...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에서 4P. 6P의 장단점을 국산차, 수입차 사례들...

작성일 2023.05.0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에서 4P, 6P의 장단점을 비교해 주시고
국산차. 수입차 사례들을 들어서 설명해 주세요.


#자동차 브레이크 #자동차 브레이크 위치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자동차 브레이크 원리 #자동차 브레이크 끼익 소리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교체 시기 #자동차 브레이크 종류 #자동차 브레이크 구조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 #자동차 브레이크등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자동차의 제동장치란 무엇인가?

가. 제동장치란, 주행 중인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 정지된 차량을 정지 상태로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동 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력이나 보조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제동하는 장치를 뜻한다. 자동차의 주행 성능 향상, 환경 친화적 부품 사용, 서스펜션 기술의 진보에 따라 기존의 단순한 제동력 뿐 아니라 안전성 및 신뢰성, 내구성 증의 제동장치에 대한 요구 성능이 엄격해지고 있다. 따라서 제동장치는 안정성 관련 핵심 부품으로 작동이 확실하고 제동효과도 커야한다.

나. 제동 장치는 제동력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힘을 이용하여 실제로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장치이며,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등이 이에 속한다. 부수 장치는 제동력 발생 장치의 힘을 제동장치에 전달하는 파이프(Pipe)류, 밸프(Valve)류 및 동력 발생 장치의 보조동력을 얻기 위한 진공 펌프(Vacuum pump),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등이 있다.

자동차 제동 시스템

다. 자동차 제동장치의 기본구조는 어떠한가?

기존의 공압 또는 유압식 제동 시스템은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이나 공압을 휠 실린더 및 캘리퍼에 전달하여 브레이크차량에는 다양한 방식의 브레이크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크게 디스크, 드럼 방식의 브레이크로 나뉘고 대형차의 경우 에어 브레이크가 있다. 기존 일반 양산 자동차의 경우 전륜에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에 드럼 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드럼 브레이크에 비하여 효력이 안정되어 있고 핸들 쏠림 방지나 안정된 제동 효력 확보의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전륜에 많이 장착하고 있다. 슈 및 패드를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형식으로 안정적인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현재까지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브레이크 작동 원리

디스크 브레이크 및 드럼 브레이크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디스크 브레이크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유압을 이용하여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압착하여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동 기구를 갖고 있다. 이 시스템은 디스크가 배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페이드 현상이 적고 소음 및 감성영역의 특성이 뛰어나 고급 중대형 자동차, 고성능 자동차 및 경주용 차량 등에 적용 폭을 점차 높여 가고 있다. 또한 페이드 현상이 적음에 따라 방열성이 우수하여 브레이크력에 의한 디스크의 열변형이 적어 좌우 브레이크의 힘의 평형이 유지되어 방향안정성이 좋은 장점을 지닌다.

디스크 브레이크 작동원리

제동장치의 개발을 위해서는 안정된 제동력, 열 방출성, 제동감 및 저소음, 내마모성, 부품교체 용이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 균일한 제동 성능 확보를 위한 일정한 마찰계수

- 제동 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한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한 고방열성

- 불규칙 마모 및 공진에 의한 소음 방지

- 패드의 낮은 마모율

- 우수한 부품 교체 용이성

2. 車 브레이크의 중요한 것2P 및 4P는 무엇이고 어떤 것이 좋은가?

"순정 브레이크가 1P라서 많이 밀릴 겁니다. 2P나 4P로 업그레이드 하시죠." # 최근 중고차를 구매한 나제동(가명)씨는 자동차 정비소를 찾았다가 의외의 얘기를 들었다.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하나씩 부품을 뜯어보던 중 브레이크 상태가 점검이 필요하다는 말을 들었던 것. 엔지니어는 2P, 4P 등 전문용어를 쓰며 설명했지만 초보 운전자인 나씨는 그게 도대체 뭔지 알 턱이 없었다.

'잘 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멈추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말이 있다. 자동차의 제동장치(브레이크)는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만큼 차량 구성에 있어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튜닝업계에서도 '브레이크 튜닝'은 가장 핫한 카테고리에 속한다. 고성능 브레이크 캘리퍼를 장착하거나 타공 디스크 등을 장착해 차량의 퍼포먼스를 최대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특히 휠 타이어 안쪽으로 붉은색, 노란색 등 화려한 색깔로 자태를 뽐내는 브레이크 캘리퍼는 퍼포먼스 튜닝과 함께 드레스업 효과까지 잡을 수 있어 브레이크 튜닝의 화룡점정(畵龍點睛)으로 꼽힌다.

우스갯소리로 '남자라면 4P!'라는 말을 듣곤 한다. 흔히 듣는 1P, 2P, 4P 등은 브레이크 캘리퍼 내 피스톤의 개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캘리퍼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켜 차량을 멈추게 하는 유압장치다. 피스톤의 몇개인가에 따라 1P(피스톤이 1개), 2P, 4P, 6P, 8P, 12P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피스톤이 많을수록 브레이크 성능도 높아진다. 패드에 골고루 힘을 전달해 제동력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피스톤 갯수가 늘면 → 캘리퍼 크기가 커지고 → 브레이크 마찰면적이 넓게 설계되어 → 제동력이 높아집니다.

그렇다면 궁금하다. 캘리퍼 피스톤이 많을수록 무조건 좋은 브레이크일까. 정답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이다. 같은 2P라도 어떤 구성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제동성이 달라지고, 오히려 대용량으로 나온 1P보다도 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캘리퍼의 피스톤의 개수가 많을수록 고속주행에서의 제동력은 우수할지 몰라도 저속 주행에서는 오히려 1P가 6P보다 낫다는 의견도 나온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4P와 6P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피스톤 수를 나타내는 용어로, 4P는 4개의 피스톤으로 구성된 시스템이며, 6P는 6개의 피스톤으로 구성된 시스템입니다. 이 두 가지 시스템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4P의 장점은 먼저 제작 및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며, 가격도 저렴합니다. 또한 속도감 있는 주행 및 기본적인 브레이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 국산차에서는 현대 자동차의 그랜저 등에서 4P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면 4P의 단점은 이와 같은 기본적인 브레이크 역할 이외에는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급감속이나 급정거 시에는 효과적으로 제동을 할 수 없으며, 주행 중 열이 발생하여 성능 하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6P의 장점은 4P와 달리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점입니다. 주행 중 급감속이나 급정거 등의 상황에서도 믿을 수 있는 제동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디스크의 내구성도 향상됩니다. 수입차에서는 BMW, 아우디, 벤츠 등에서 6P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P의 단점은 설치와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급 스포츠카나 슈퍼카 등 성능 중심의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4P는 비교적 저렴하고 평균적인 성능을 제공하는 반면, 6P는 높은 성능을 발휘하며, 디스크 내구도도 향상되지만,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시스템 선택은 차량의 용도 및 예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박신양이 파리에서 탄 차들

... 국산차수입차를 구분하는 기준이 자동차 부품의... 그러나 Northstar시스템은 이런 기술 이상의 시스템입니다. Northstar는 잠금방지 4륜 디스크 브레이크, 모든...

2012 젠쿱 2.0 소나타 K5 터보 gdi 중?...

... 엔트리급 수입차나 중고차는 전혀 고려 대상이... 및 국산차 공부를 했는데요.. 결국 후보는 2012년형 소나타와... 서스페션이라던지 브레이크 시 스템 옵션 되잇는 차종으로...

타이어에 관해서

... 이것을 자동차용으로 완성한 사람은 앙드레... 1895년 파리-보르도 간을 달리는 자동차 경주에 처음으로 이... 딸이 "자동차에서 가장 피로(tire)를 느끼는 부품은 아마도...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국내외...

... 남한 자동차가 늘어난다. 현대와 기아, 대우는 유명한... 성공적 사례라는 것을 어느 정도 인정, 평가하게 돼 박... 자기 장단점을 잘 알고, 단점을 메워 줄 수 있는 훌륭한...

자동차 구입 추천좀 부탁드려요[내공 팍!!]

... 일단, 자동차 구입 비용을 제외한 모든 유지관련... 국산차 1종, 수입차1종 추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추천... 준대형과 어울리지 않는 풋 파킹 브레이크가 가장 아쉬운...

아우디A4 장단점

... 수입차이니 당연히 부품 비싼건 인지 하시고 구매... 브레이크패드도 국산차 공임포함 10만원이면 충분 한데...40만원 입니다 ㅎㅎ(4p는 100만원) 아, 케빈필터...

16년형 더뉴k7 3.0 완풀

... 현제는 랩스 4p 브레이크 앞, 뒤 다 되어있구요... 랩스 RS01... 국산차 / 수입차 / 화물차 / 사고차 / 전손차 / 최고가 매입 중고차매매 거래시 필요서류 개인(비사업자) :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