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가 관련 질문이요!ㅠㅠ 내공 70이요.

우리나라 물가 관련 질문이요!ㅠㅠ 내공 70이요.

작성일 2023.10.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리나라 물가 관련 질문이요!

1.우리나라 물가 현황 좀 알려주세요!! (아직 학생이라 잘 모르겠고 통계청 통계 해석도 어렵네요ㅜ)

2.물가가 오르면 나타나는 부작용 2~3가지 정도 알려주세요!

3.위에 적은 부작용의 해결방안과 한계점도 같이 부탁드립니다!

내공 70입니다. 소중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우리나라 물가 순위 #우리나라 물가상승 #우리나라 물가 상승 이유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평균 #우리나라 물가 비교 #우리나라 물가 스위스 #우리나라 물가 현황 #우리나라 물가지표 #우리나라 물가지수 순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1번, 물가현황은 물가지수가 보통 전년 동월대비 올해 얼마올랐냐로 나타냅니다. 말씀대로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에 나오는데

현재는 22년 9월대비 23년 9월이 3.7% 올랐다는 내용입니다. 미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전년동월 대비 2%로 관리하는게 정부이자 중앙은행의 목표입니다.

2번과 3번 같이 대답드려야 할거 같은데, 물가가 오르면 시민들이 못살겠다고 힘들다고 목소리를 많이 냅니다. 그러면 정부는 물가 오름세를 낮춰야하는데, 여기에 거의 유일한 대책이 금리상승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애초에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물건대비 돈의 가치가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은 이상 작년의 커피와 올해의 커피는 맛과 양이 같은데 가격이 오를 이유가 없습니다. 돈의 가치는 돈의 양이 늘어났기 때문에 가치가 낮아진 것입니다.

단순 예시)

20년 커피 100개 : 돈 100개 = 돈 1개로 커피 1개 살수 있음

23년 커피 100개 : 돈 200개 = 돈 2개로 커피 1개 살수 있음

→커피를 사려는 수요는 여전한데(가치는 여전한데) 돈만 늘어났으니, 커피대비 돈의 가치는 하락하여 더 많은 돈을 주고 커피를 사게 됨

그래서 이제 늘어난 돈을 더이상 못늘어나게 해야하는데, 이 방법이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돈은 정부에서 더 많이 발행해서 늘어남 + 대출이 늘어남 이렇게 돈이 늘어나는 배경은 간단히 두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은행은 우리한테 돈을 받아(예금)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는데(대출), 이때 우리한테 받은 돈의 일부만 남기고 나머지를 다 빌려줄 수 있습니다. 그러니 1000만원 예금들어오면 예를 들어 100만원 남기고 900만원 빌려 줄수 있습니다. 그래서 1000만원이 은행이 들어가면 900만원이 생겨 총 돈이 1900만원이 되어버립니다.

사람들은 금리가 낮으면 돈을 많이 빌립니다. 기업은 낮은 이자로 돈 빌려 설비투자하고 사업을 확장하고, 개인들도 싸게 빌려서 차도 사고 집도 사고, 금리가 낮으니 은행에서 주는 이자도 낮아서 맡겨봐야 돈도 안되니 주식 해볼까 하고 투자도 활성화되고 그러면서 돈도 더 빌리고...

그런데 이제 물가도 너무 많이 오르고 해서 이 풀린 돈들을 좀 줄여야 합니다. 이때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이자 10만원 내던 사람들이 20만원 내야하고 그래서 부담이 돼서 지출이 줄게 되고 돈도 덜 빌리게 되고, 정기예금 이자도 높아져 대출보다는 저축도 늘어나고 합니다.

기업들도 투자를 줄이게 되고, 투자가 줄어들게 되니 고용도 줄거나 운영비를 감당못해(소비가 위축되어 기업의 상품들도 잘 안팔림) 해고까지 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돈이 줄고, 사람들이 소비(물건을 사려는 수요)도 줄게 되면 물가상승세가 꺾이기 시작합니다.

즉, 물가가 올랐을 때의 부작용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게 되어 소비위축(물건 값 자체가 비싸진 것도 한목 함), 투자비활성, 고용감소 등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해결방안은 금리인상인데, 금리를 너무 빨리 올리면 시장에 충격이 찾아와(몇달전에 이자 1000만원 내던 기업이 2000만원 내야되게 되니까) 경기침체가 올 확률이 높고, 너무 늦게 올리면 물가안정이 늦게 찾아와 시민들의 불만이 많아집니다. 즉, 그만큼 조절이 어려운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요즘 처럼 기름값이 올라버리면 효과가 줄어듭니다. 금리인상으로 물가를 잡으려 하지만, 높아진 유가로 인해(유가는 거의 대대분의 상품 가격을 올림 = 상품제조 기계에도 기름이 들어가고, 이를 만들어 배송하는데도 기름이 들어가기 때문에 결국 원가가 올라가서 상품의 판매가도 올라가게 됨) 효과가 바로 안나탈수 있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리, 관련 내용도 제 블로그에 있으니 한번 놀러오세요.

감사합니다.

베트남 물가 관련 궁금한 점

... 질문이 너무 두서 없지만,, 알려주세요~~~ 내공 많이 드릴게요 ㅠㅠ 예, 그렇습니다. 한국에서 생활하던 수준을... 예를 들면, 빵집에서 빵을 하나 산다면 우리나라는 1000원...

터키이스탄불여행 (물가 및 여행 질문)

... 사용하셔도 질문자님이 초보로 여행하시면 우리나라... 4.물가 전체적인 터키 이스탄불에 물가가 너무나도 궁금합니다 5.열흘에 70만원정도면 충분할까요 -> 이거 질문...

고수님들 헬프미ㅠㅠ (내공 70...

... 1)우리나라의 경우 국제 유가의 변동이 국내 경제에 큰... 균형물가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여라 빠르고 확실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 꼭 총수요곡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