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관련 질문] 화폐수량이론적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경제학 관련 질문] 화폐수량이론적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작성일 2023.06.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화폐수량이론적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화폐발행은 중앙은행에서만 하고 1) 국채를 구매하거나  2) 시중은행에 대출을 해줌으로써 시장에 유동성(돈)을 공급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게 현재의 한국 및 대부분 시장경제 국가의 시스템이 맞지요?)


아래의 가상의 국가 A를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국가 A에는 중앙은행 B가 있고 시중은행 C,D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중앙은행 B가 국가 A의 채권 100만원어치 (1년만기 2%이자)를 구매했고,

시중은행 C,D에 각각 100만원식 (1년만기 2%이자)로 대출을 해줬으면

,총 발행된 돈은 300만원입니다.


1년이지나면 국가 A는 100만원(원금)과 2만원(이자)를 중앙은행에 반환해야하고,

시중은행 C,D도 각각 100만원(원금)과 2만원(이자)를 중앙은행에 반환해야합니다.


그럼 중앙은행은 306만원을 다시 반환받게 되지만,  시장에는 300만원 밖에없잖습니까?


그럼 나머지 6만원은 반환을 할수 없게되고, 시장의 유동성은 0가 되게 되는데, 그러면 어떻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건가요?
그렇다면 중앙은행은 계속해서 채권을 구매하고 대출을 해줌으로써 유동성을 공급하는건가요?

그럼 중앙은행은 항상 발행한 돈보다  많은 돈을 회수 하게 되는  아닌가요?



#경제학 관련 책 #경제학 관련 직업 #경제학 관련 자격증 #경제학 관련 학과 #경제학 관련 주제 #경제학 관련 영화 #경제학 관련 책 추천 #경제학 관련 논문 #경제학 관련 정보 #경제학 관련 전공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화폐수량이론은 화폐의 공급량이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는 경제학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화폐의 공급량이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하고, 화폐의 공급량이 감소하면 물가가 하락합니다.

화폐수량이론이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한 가지 방법은 화폐의 공급량이 증가하면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집니다.

화폐수량이론이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화폐의 공급량이 증가하면 통화량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상품과 서비스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집니다.

화폐수량이론은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이론이지만, 완벽한 이론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화폐수량이론은 통화량이 증가하더라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경제에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에 공급 충격이 발생하면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공급 충격은 상품과 서비스의 공급을 감소시켜 가격을 상승시킵니다.

화폐수량이론은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이론이지만, 완벽한 이론은 아닙니다. 인플레이션을 설명할 때는 화폐수량이론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학 이론도 고려해야 합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black_hunter/products/7419596158

인플레이션과 환율 등 경제 개념에 대해...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화폐(원화) 가치가 떨어져도 환율이... 여러가지 이유때문에 환율이 반드시 오르지는 않습니다. 여러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환율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정책

... 거시 경제학의 주요 논점 중의 하나가 인플레이션이... 하지만 이에 대해 이론적으로 문제가 제기됩니다.... 기현상이 발생합니다. 수요측면에서인플레이션에 대한 이론은...

경제학 관련 질문입니다.^^(열심히...

... 2)인플레이션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않좋은 영향은... 바로 경제학입니다. 그러면 소비의 측면에서 자유시장을... 경쟁이 발생하겠죠? 더 원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가격을...

통화량 - 인플레이션 / 통화량 - 소비

... 늘어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겠네요... 어떤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입니다. 사람들한테 화폐량을 늘리려고 하는 이유는요 어디까지나 사람들이 소비를...

필립스곡선 관련질문입니다

... 경제학자는 통화정책으로 인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가 일시적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주장하는 이유가... 이론적인 설명은 좀 난해하게 들리실서 같아서 엄밀하지는...

거시경제학 질문

... 사실상 '화폐의 장기중립성'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기에서는 물가가 경직적이므로 총수요충격이 발생하면 단기적으로는 물가는 작게 변화하고 그 대신 수량...

거시경제 알려주세요

... GDP는 분배측면에서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 3) 예를 들어 1990년에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 미시경제학의 기초적인 문제이군요.. 이윤 극대화의...

주가 와 실업률의 상관관계

... 반응민감성이 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그러나 물가 상승이 시작되면 굉장히 빠른 속도로 발생해 소득증가를 따라잡습니다. 3. 인플레이션의 공급측면과...

거시경제학 질문드립니다. 여러분의...

... 은행과 관련 기업들이 비엔나 소시지 마냥 무너진 사태를 말하는데요. 그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keynesian과 화폐수요의 측면에서 분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