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알려주세요

거시경제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3.09.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제가 경제학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인데 하다가 잘 모르는게 있어서 이렇게 문의합니다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아시는분께서는 좀 도와주세요 (제가 경제학과가 아니어서 잘 몰라서 그렇거든요 도와주세요)

1. market clearing model 은 무엇인가?
언제 적절한 market clearing의 가정이 있습니까?

2. GDP는 분배측면에서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 소모, 순간접세(=간접세-정부보조금)의 합계이고, 지출면에서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수출-수입)의 합계이다. 한국은행 경제통계 DB를 이용하여 1998, 2001, 2002년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라
1) 각 연도에 대해 3면 등가의 원칙이 성립함을 보여라
2) 각 연도에 대해 국내총소득(GDI) 구성요소 각각의 백분율을 구하라
3) 각 연도에 대해에 GDP 지출측면에서 구성요소 각각의 백분율을 구하라
4) 국민소득 실제 추계에 있어서 투자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라

3. 다음 데이터를 구하고 그 추이를 분석하라
1) 저축률과 투자율의 추이를 1990년 이후 가장 최근 년도까지 구하라(한국은행)
2) 소비자 물가지수(CPI), 실업률 자료를 1990년 이후 가장 최근 년도까지 구하라(통계청)

4. 다음 경제를 가정하자.

2000년 2002년
자동차 가격 50,000 60,000
빵 가격 10 20
자동차생산량 100 120
빵 생산량 500,000 400,000


1) 200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각 연도에 해당하는 명목 GDP, 실질 GDP, GDP Deflator를 구하라
2) CPI를 구하라
* 가중치를 이용하는 방법까지 포함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라(Laspeyres Index)
3) 2000년과 2002년 사이에 물가는 얼마나 상승하였는가? 라스파이레스(Laspeyres) 와 파쉐(Paasche) 지수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4) 최근 국민연금 문제와 관련해서 보험료는 더 내고 수급액을 줄인다는 발표가 있었다. 그런데 국민연금 수급액과 관련해서 향후의 물가상승을 보상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물가상승을 상쇄하기 위해 수급액을 조정한다면 CPI 또는 GDP deflator에서 어는 지수를 사용할 것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5. 어떤 차입자와 은행이 합의하여 대출이자율을 결정하였는데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율이 높았다고 하자.

1) 실질이자율은 예상보다 높았는가 낮았는가?
2) 예기치 못한 높은 인플레이션율로 인해 차입자는 이익을 보았는가 손해를 입었는가? 은행은 이익을 보았는가 손해를 입었는가?
3) 예를 들어 1990년에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자. 만약 이럴 경우 1980년대에 고정이자율 주택자금을 대출받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겠는가? 돈을 빌려준 은행에는 어떤 영향이 있었는가?

6. 홍길동은 종업원 7명을 둔 햄버거 가게를 열었다. 종업원의 임금은 시간당 6,000원이고 햄버거는 한 개에 3,000원이다. 홍길동이 이윤극대화를 추구한다면 마지막으로 고용된 종업원의 한계생산가치(value of marginal product)는 얼마인가? 그 종업원의 한계생산은 얼마인가?

* 한계생산가치: 생산요소의 한계생산물에 생산물의 시장가격을 곱한 금액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1. 시장청산(market clearing) 이란 주어진 시장 가격에서 공급자와 생산자가 원하는 물건을 모두 팔거나 살 수 있는 상태 말합니다.
따라서 시장청산 모델이란 시장의 가격이 신속히 수요.공급에 따라 변하여 언제나 시장의 모든 수요와 공급량을 일치시키는 것을 가정한 모델입니다.
이러한 모델(가정)이 적용되려면 가격의 신축성이 보장되는 상황이어야 합니다.
현실 경제에서는 단기간에는 가격이 오히려 비신축적인 경우가 많이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대부분의 가격이 신축성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상황에서 적합한 모델(가정)이 될 것입니다.

▶2.

1)1998년 예 (단위 : 10억원)

ㅇ 생산측면 : GDP 444,366

ㅇ 지출측면
소비(민간) 242,834 + 정부 지출 48,782 + 투자 94,055 + 수출 220,961 - 수입 161,144
- 통계상불일치 1.122 = 444,366

ㅇ 분배측면
피용자보수 200,991 + 영업잉여 134,131+ 고정자본소모 58,248 + 간접세 52, 430 - 정부보조금1,434
= 444,366

2)~3) : 별도 엑셀 파일

4) 투자의 구성 : 국민계정상 투자는 국내총자본형성과 국외투자로 구성되며..
국내총자본형성은 총고정자본형성(고정투자)과 재고증감(재고투자)으로 이루어지며 총고정자본형성은
다시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로 구성된다.

...2번의 관련된 나머지 통계자료와 밑의 3번 관련 통계자료는 답변이 답변확정되면 엑셀 파일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3.

1) 1993년 및 1998~2001년을 제외하면 국내 총투자율이 저축율을 웃돌았는데 이는 해외로부터 부족한 재원을 도입하여야 했음을 뜻한다.
또한 총투자율은 1997년 이전에는 30% 대였으나 1998년이후에는 20% 대에서 머물러 있다.

2) 1997년 말 환율의 폭등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상당히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실업률은 외환위기 이전에는 2% 대를 유지해 오다가 외환위기 직후에는 6~7%로 폭등하고 그 이후에는 크게 낮아졌으나 아직 외환위기 전의 실업률보다 높은 3% 대에서 계속 머물러 있다.

▶4.
1) 명목 GDP는 그 해의 각 생산품의 생산량과 가격을 그냥 곱해서 구하면 됩니다...
실질 GDP를 2000년을 기준으로 하여 구하라고 한 것은 2000년의 가격을 기준으로하여
GDP를 구하라는 것입니다..즉 라스파레이스식으로 구하는 것이 됩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GDP/실질GDP)X100 으로 구하면 됩니다.
따라서..

가) 명목 GDP

- 2000년 : 자동차(100대X50,000원) + 빵 (500,000개X10원) = 10,000,000 원
- 2002년 : 자동차 (120대 X 60,000원) + 빵 (400,000개X20원) = 15,2000,000 원

나) 실질 GDP

- 2000년 : 2000년이 기준연도이므로 2000년의 명목GDP 10,000,000원이 곧 실질GDP가 됩니다.
- 2002년 : 자동차(120대X50,000원) + 빵 (400,000개X10원) = 10,000,000원
...실질 GDP가 2000년과 2002년이 똑 같네요..

다) GDP 디플레이터
- 2000년 : 2000년이 기준연도이므로 100이 됩니다.
- 2002년 : (명목GDP/실질GDP)X100 = (15,2000,000/10,000,000)X100 = 152

2)가중치를 이용하는 방법까지 포함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라(Laspeyres Index)...
라는 것이 뭔지 좀 애매하긴한데요..
또 생산물이 두 종류밖에 없는데 CPI라는 것이 무슨 소용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쨌든..라스파레이식은 기준연도(2000년)의 수량을 기준으로 하므로..(즉 분자, 분모의 수량에 2000년의 수량을 씁니다)

가)총금액으로 구하는 방법 :

CPI = (2000년의 자동차의 수량X2002년의 자동차의 가격 + 2000년 빵의 수량X2002년 빵의 가격)/(2000년의 자동차의 수량X2000년의 자동차의 가격 + 2000년 빵의 수량X2000년 빵의 가격) X 100
= (16,000,000/10,000,000)X100 = 160

나) 가중치로 구하는 방법..

자동차와 빵의 가중치를 2000년의 총 금액에 대한 비중에서 구하면 각 생산물의 총금액은 5,000,000원으로 같으므로 자동차와 빵의 가중치는 각각0.5로서 같게 됩니다. 따라서..
CPI = (자동차 가격의 상승률X자동차의 가중치 + 빵 가격의 상승률X빵의 가중치)
= {(60,000/50,000)X0.5 + (20/10)X0.5 }X100=160

3) 라스파레이식으로 구하는 것은 결국 2)번에서 CPI 를 구한 것과 같죠..
(문제가 중복된 것 같습니다…생산물이 2 가지밖에 없으므로 그럴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파쉐 식은 현행 연도 (2002년)의 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므로..
{(2002년의 자동차의 수량X2002년의 자동차의 가격 + 2002년 빵의 수량X2002년 빵의 가격)/(2002년의 자동차의 수량X2000년의 자동차의 가격 + 2002년 빵의 수량X2000년 빵의 가격)}X 100
= (15,200,000/10,000,000)X100 = 152

..따라서 2000년 대비 2002년의 물가는 라스파레이스 지수로는 60%, 파쉐 지수로는 5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4) 국민연금을 받는 대상은 소비생활을 하는 개인이므로 생산물 전체의 물가지수라고 볼 수 있는 GDP 디플레이터보다는 소비재의 물가지수인 CPI를 물가 상승에 대한 보상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5.
1) 실질 이자율은 명목이자율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이므로..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았다는 것은 반대로 실질이자율이 예상했던 것보다 낮아졌다는 것을 뜻합니다.

2) 은행입장에서는 예상했던 실질이자율이 더 낮아졌으므로 손해죠..
즉,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의 하락을 뜻하므로..
은행(채권자)은 자기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작은 화폐가치(이자)를 돌려받게 되므로 예상보다는 손해를 보는 것이죠..
반대로 차입자(채무자)는 원래 예상했던 것보다 작은 가치의 화폐 (이자)를 돌려주게 되므로 예상보다 이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결국 2)번과 같은 문제인데요…따라서 답도 2)번과 같습니다..


▶6. 이 문제는 거시경제학이 아니라 미시경제학의 기초적인 문제이군요..
이윤 극대화의 조건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게 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마지막으로 고용한 종업원의 임금(한계비용)과 그 종업원이 만들어 내서 판 빵의 수익
(한계수입 = 한계생산가치)이 같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적어도 자기가 받는 임금만큼은 벌수 있어야 그 사람을 고용한다는 뜻이죠..
(실제로는 이런 상황이라면은 마지막 종업원은 고용할 필요가 없겠죠..귀찮게..하지만 이론상..
'한계수입=한계비용'을 이윤 극대화의 조건으로 보는 것이지요..^^)

따라서 마지막 종업원의 시간당 한계생산가치는 당연히 자기의 시간당 임금과 같아야 할 것입니다..
즉 빵 6,000원 어치/시간이 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그 종업원의 한계생산(물) 즉, 빵의 개수로 나타내면...
시간당 빵 6,000원 어치(한계생산가치)가 되므로.. '빵 2개/시간'이 그 종업원의 한계생산(물)이 됩니다...
(이건 그냥 초등학교 1학년 산수죠...빵 1개가 3,000원이면 6,000원어치는 빵 몇 개인가...^^)


참고자료)

윤석범 엮음, 한국경제론 강의, 2001, 세경사
차동세, 윤기향, 현대거시경제론, 1997, 박영사
멘큐 저, 이병락 옮김, 거시경제학, 1998, 시그마프레스

환율도 거시경제인가요?

환율도 거시경제인가요??? 제발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주식,증권 분야 지식iN 절대신 TesTia입니다. ✥ ✅️ 네, 환율, 물가, GDP 등은 거시경제의 영역에 포함된다고...

거시경제 알려주세요

...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아시는분께서는 좀 도와주세요 (제가 경제학과가... 이 문제는 거시경제학이 아니라 미시경제학의 기초적인 문제이군요.. 이윤 극대화의...

거시경제 공부법

... 좀 알려주세요 그리고 그 정보들이 무엇을 말하는지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거시적으로 흘러가는 경제 공부를 할 때 실시간으로 체크해야될 지표나 정보가...

거시경제변수

거시경제시장의 변수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거시경제시장의 변수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 GDP, 실업률, 인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입니다.

거시 경제 ~!! 이거 쉽게 좀 알려주세요.

... 지식인에 찾아봐도 어렵게 설명들을 해주셔서...미시경제는 뭐고 거시경제는 뭐죠? 또 둘의 차이점은요? 그리고 맨큐의 경제학 책 보려고 하는데 그 안에 미시과 거시가 다...

거시경제학의 의미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우선 제가 적어 놓은것은 미시경제학=교환의 개념(세포)→거시경제학=순환의 개념(혈액) 시장을 신봉하는 경제= 미시경제학 이라고 적어뒀습니다. 교수님께서 사람의...

거시경제정책 종류 뜻

거시경제정책에 뭐가 있나요 의미 쉽게 알려주세요 거시경제정책은 기본적으로 경기를 안정화시키는 것입니다. 경기는 상황에 따라 침체 혹은 후퇴하기도 하고 회복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