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엘리베이터 산업 규모를 알아볼수있는곳은?

우리나라의 엘리베이터 산업 규모를 알아볼수있는곳은?

작성일 2003.08.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얼마전 신문에서 국내에 세계 3대 엘리베이터 메이커가 모두 진출했다는 기사를 본것같습니다.
(물론 기존의 국내 엘리베이터 업체를 인수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만..)
국내의 엘리베이터 산업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고 싶은데..
어디서 자료를 찾아야할지 궁금합니다.
국내 건설 경기와 동반한 엘리베이터 산업의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것인지 궁급하군요.
국내의 엘리베이터 수요가 그렇게 많은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산업의 특성
(가) 개요
◆ 운반기계산업은 주로 대형화물, 중량물, 사람 등을 운반하거나 하역하는 기계설비또는 공장자동화(FA)와 관련된 산업으로, 건축물 승강설비나 산업용로봇, NC공작기계, 산업용컴퓨터 및 PC 등을 기본요소로 하는 공장자동화기계 및 물류시스템 등을 제조함으로써 각종 산업과 생활환경 전반에 걸쳐 상호 연관성이 높은 산업임.
◆ 주요 생산품목으로는 승강기(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를 비롯한 크레인, 콘베이어, 지게차, 자동입체창고설비, 산업용 수송트럭 및 트레일러 등이 있음.
◆ 타업종에 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며, 대부분의 생산형태는 주문생산임.
◆ 전반적인 경기변동과 설비투자 동향에 민감하며, 후방산업과의 연관효과나 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
 
(나) 주요 제품의 특성
◆ 승강기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화물 등을 상하로 이송하는 운반하역기계의 일종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곤도라 등이 대표적임.
◆ 기계제작과 이용장소 설치가 일체화된 산업으로 사용목적과 설치장소에 따라 사양을 달리하는 특성상 제품의 표준화에 한계가 있어 주문을 통한 생산형태가 일반적임.
◆ 내수위주의 산업으로 수요산업인 건축경기에 민감하고 건축공사에 있어서 공    정 마무리단계에 제품이 투입되기 때문에 건설경기에 비해 1∼2년 정도 경기가 후행하는 특성을 가짐.
◆ 승강기는 창의적인 설계 및 제반 기술의 응용 등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서 다양한 공정을 통해서 조립 생산되기 때문에 타산업과 관련효과가 높음.
◆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사후관리차원의 설비보수와 유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산업임.
 
(다) 국내 업계의 특성
◆ 국내 운반하역기계 업계는 종업원 300명이하의 중소기업이 6백여개사로 전체 업체의 약 99%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월평균 종사자수 및 생산액 비중은 수개의 대규모업체 비중이 월등한 수준으로 외환위기 이후 많은 소규모업체가 정리되어 사업체수, 월평균 종사자수, 생산액 등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최근 회복추세임.
◆ 거래단위가 큰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는 대기업이 그 생산을 주도하여 자본집약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고, 콘베이어, 호이스트(리프트), 크레인 등은 중소기업이 주류를 이루는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

(2) 산업의 성장성

[운반하역기계] (단위:백만원)
구     분 2002년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금    액 증감율
생     산 1,275,852 10.7% 1,152,996 1,057,608 982,319 1,033,365
출     하 1,270,306 10.3% 1,152,094 1,067,527 980,240 1,038,523

자료 : 기계산업통계월보(2002년 금액은 추정치임)
* 운반하역기계 품목중 승강기, 주차기, 자동창고시스템, 호이스트 품목의 통계자료임. (출하는 내수, 수출 포함)


◆ 94년 이후 국내경기의 회복으로 내수가 늘고 엔고에 따른 수출증가로 생산이 활기를 띠었으나 98년에는 외환위기에 따른 국내경기의 급속한 위축과 건설경기 부진,동남아 외환위기로 인한 수출감소로 생산이 36.5% 감소하였으며 99년에도 지속된건설경기 부진으로 약 4.9% 감소함.
◆ 96년까지 증가세를 보여온 수출·입 규모는 97년에 외화기준 및 원화기준 수출입액이 크게 감소하였고 98년 및 99년에도 동남아시아권 경기회복세 지연 등으로 수출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98년도까지 감소세를 보이던 수입규모는 99년부터 수입액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부진으로 97년 이후 외형감소가 계속되고 있으나, 건설협회에 의하면 2003년 건설경기는 5% 중반대의 성장세를 전망하고 있으며, 과거 대형건설 공사관련 엘리베이터의 노후화로 2∼3년내 이들의 교체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업계는 교체수요(MODERNIZATION)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교체시장규모의 확대가 기대됨.
◆ 장기적으로 볼 때 내수중심의 산업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품질, 고부가가치제품을 통한 수출증대 등으로 제품의 판로다각화가 요구되며, 이러한 수출부문의 증가는 국내시장의 성장둔화에 대한 부담을 일정부문 해소시켜줄 것으로 예상됨.

(3) 경쟁요소

[국내 3대 승강기 업체 개요]
(2002년말 기준) (단위:억원)
구    분 현대엘리베이터 OTIS-LG 동양에레베이타
설     립     일 1984.05.23 1999.11.22 1966.02.22
공 장 소 재 지 경기 이천 경남 창원 경기 안산
대     표     자 최 용 묵 장 병 우 금 병 호
총     자     산 2,676 7,577 1,834
자     본     금 281 400 176
매     출     액 3,114 6,388 2,034
경  상   이  익 -505 433 70
종업원수  (명) 1,146 2,700 775

※ OTIS-LG 자료 근거 : 신용보증기금 기업정보자료( 단, 종업원수는 자료 미입수로    추정치임) , 동양에레베이타 자료 근거 : 2002년 사업보고서 제출 자료
◆ 국내 승강기시장은 현대엘리베이터(주), LG산전(주), 금성기전(주) 및 동양에레베이타(주) 등 대형 4개업체가 총수요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과점체제를 이루어오다 95년 9월 금성기전이 LG산전에 합병됨에 따라 대형 3개업체의 경쟁체제로 재편되었으나 다시 99년 12월중 LG산전의 빌딩설비사업부가 미국의 다국적기업인 OTIS사에 매각되어, 현재는 국내 순수 기술 및 자본으로 이루어진 현대엘리베이터(주)와 다국적기업인 OTIS-LG와  동양에레베이타 3개사가 전체 엘리베이터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과점시장을형성하고 있음. 그러나 2003년도에는 동양에레베이타와 독일 티센크루프 지분제휴 계획이 공식 발표되었고, 중앙엘리베이터는 스위스의 쉰들러사가 인수하여 쉰들러중앙엘리베이터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일본미쓰비시도 국내에 진출하여 국내시장은 세계 유수업체들과의 국제경쟁 체제에 돌입하였음.
◆ 주로 대기업은 고급형 인승용 승강기 제작에, 중소업체들은 화물용 승강기 제작에치중하고 있어 업체규모별로 시장의 분할이 뚜렷하고 보수부문은 대형 3사가 자체적으로 설비보수업체들과 연계하여 사후관리를 하고 있으나 전국적으로 약 500여개에 달하는 중소설비보수업체가 난립하고 있어 덤핑 및 부실보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임.
◆ 최근 업계내에서는 고속주행용 인버터 엘리베이터,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등 성능 및 효율성을 높인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호화주택으로 분류되어 취득세 및 양도소득세 중과대상이던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설치주택이 2000년부터 중과세대상에서 제외됨으로서 가정용 엘리베이터인 공압식 엘리베이터의 보급도 활발히 이루어질 전망임. 또한 업계내 군관리시스템, 고객관리시스템의 강화로 하드웨어분야 외에 소프트웨어분야에서도 타사와 차별화된 인프라 구축을 위해 관련 업계가 노력중임.

◆ 2002년 7월부터 시행된 '제조물책임법'에 따라 업계에서는 수주에서 제품설치 및 사후관리까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곧 소비자들의 선호도 형성과 더불어시장에서의 지위, 이미지 제고 등에 중요한 요소가 될 전망임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① 개요
◆ 현대엘리베이터(주)는 1984년 5월 23일 창립하여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의 운반기계류와 주차설비, 물류자동화설비, 승강장 스크린도어 등의 최첨단 설비 및 관련분야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올해로 창립 19주년을 맞은 현대엘리베이터(주)는 그간 세계 일류 승강기 기술업체들과의 다원적인 기술제휴 및 협력관계를 통한 선진기술의 이전과 자체 기술연구개발노력으로 기술의 발전과 제품국산화를 이루는 한편, 동남아,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의 해외시장진출을 통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에서 비중있는 승강기 및 물류자동화설비 전문 메이커로 부상하고 있음.
◆ 현대엘리베이터(주)는 어려운 경제여건속에서도 99년에는 2,371억원, 2000년에는 2,601억원, 2001년에는 2,751억원, 2002년에는 3,114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하였음. 또한 현대엘리베이터(주)는 경영방침을 "기술제일, 고객제일, 인화단결"에 두고 고속엘리베이터,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 HIGH-RISE 에스컬레이터 등의 고부가가치제품의 영업강화와 더불어 고속엘리베이터의 국산화, 밀레니엄 에스컬레이터, MEDIUM RISE 에스컬레이터 개발 및 COMPACT형 MOVING WALK 개발 등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가격 및 품질경쟁력을 확보하고 빠르게 변하는 시장 트랜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량 단납기 생산체제 확립 및 부품 MODULE화로 설치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였음.
◆ 1989년 물류자동화설비를 처음 시작한 현대엘리베이터(주)는 그 동안 현대중공업중장비 조립라인, 현대자동차 조립라인, 서울중앙병원 기송관 및 수직반송설비, 리바트가구 보관창고, 고려화학 도료보관창고, 현대전자의 반도체생산라인, 현대석유화학의 HPO POLYMER공사, 인천국제공항 아시아나화물터미널 B블럭, C블럭 공사 등의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경험을 바탕으로 물류자동화설비 업계의 선두주자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기술력을 바탕으로한 부품국산화에 성공하여 가격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② 주요 사업부문별 판매실적

(단위:백만원)
구    분 판 매 실 적 비   고
2002년 2001년
일반목적용
기계제조업
내   수 232,728 203,621
수   출 27,701 26,557
260,429 230,178
서 비 스 업 내   수 47,827 41,805
수   출 3,159 3,132
50,986 44,937
합         계 내   수 280,555 245,426
수   출 30,860 29,689
311,415 275,115

※ 일반목적용 기계제조업에 속한 주요제품으로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주차      설비 및 물류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들의 보수 및 부품판매등의 매출은        서비스업으로 구분함.

         
◆ 2002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3% 증가한 3,114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49% 증가한 404억원을 기록함.

◆  매출증가 요인으로는, 승강기 부문의 매출이 전년대비 21% 증가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금리인하로 인한 건물신축 및 개보수 공사가 늘어나는 요인과 함께 지난 2년 동안 제품수요를 예측하고 생산 공정라인을 재배치 하는 등 시장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결과였고, 또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의 결실로 이루어낸 동기권상기 국산화와 국내 최초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 신제품의 판매 증가 등도 매출신장의 요인이 되었음.           
◆ 2003년  매출액은 3,500억원으로 예상함.

③ 사업 전략

◆ 주력제품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이외에 물류자동화설비 및 주차설비관련 제품의 시장점유 확대노력과 98년 지하철 및 경전철 승강장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 사업에 진출하는 등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협력회사와의 거래 개선을 위하여 B2B사업도 추진중임. 향후 물류자동화설비사업 및 승강장스크린도어사업을 21세기 주력사업으로 육성하여 비승강기사업부문의 매출비중을 50% 수준으로 증가시킬 계획임.

◆ 현대엘리베이터(주)는 사업다각화를 통한 안정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환경관련사업, 반도체장비 및 통신장비의 제조·판매업, 보안경비용 장비제조 및 시스템경비업 등의 첨단산업에도 진출할 계획중에 있으나 여러가지 어려운 경제여건으로 인해 사업의 추진은 보류중에 있음.


④ 제품별 특성 및 경쟁요소

[ 승강기 부문 ]
◆ 90년부터 VVVF형 엘리베이터를 자체기술로 개발하는 등 고급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건설경기의 침체로 인한 내수부진을 타개하기 위한 해외 신시장 개척과 아시아권 경제개발로 기대되는 수출을 통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음.
◆ 터어키 앙카라시로부터 수주한 36층규모의 주상복합빌딩에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19기를 설치완료하는 등의 시장다변화에 성공하였으며, 남아공, 인도, 러시아  등의 신규시장개척에 박차를 가하여 지속적인 수출증가를 꾀하고 있음.
◆ 96년 고속처리가 가능한 분산제어시스템에 퍼지이론과 의사결정이론을 결합한 인공지능을 이식하여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건물의 교통흐름을 종합분석하여 대기시간 10.8%, 전력소모 15% 감축하는 성과를 거둠.
◆ 96년 분당속도 300M급의 초고속엘리베이터를 자체기술로 개발완료 하였으며 현재 분당 속도 600M급의 초고속엘리베이터를 자체기술로 개발중임.
◆ 차세대 엘리베이터라 불리는 상부구동형과 하부구동형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를 국내최초 개발하여 실용화함.
- 국내 최초의 개발 실용화된 기술로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으로부터 국내최초로    '특수구조 승강기'로 승인받음.
- 상부구동형 제품은 분당속도 120m, 최고 운행높이 32층(96m), 17인승으로 세계      유수의 제품보다 월등함.
- 기존 하부구동형이 저층건물에만 적용되는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상부구동형은    고층건물에 적용이 가능해지고 소음 및 승차감이 크게 향상됨.
- 전기가 아닌 자석의 힘을 이용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적용하여 소비전력이      기존 유압제품의 1/4, 로프식제품의 2/3 수준으로 에너지효율에 관심이 높은 해외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있음.
- 기계실이 없어짐으로서 건축법상의 고도제한이나 일조권문제 등 건물설계상의 제    약을 극복하고 공사비 절감 및 공사기간 단축, 건물미관 및 공간활용이 극대화됨.
- 기계실이 없어지는 높이만큼 1개층의 추가설계가 가능하여 이로 발생하는 이익은    엘리베이터 구입대금을 공제하고도 남을 정도로 건물주에게 큰 이득을 줌.
-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중국과 유럽 및 중동 등지의 세계시장에 본격 진출시킬        예정이며, 현재 국제 특허 출원중임.
- 현재 총매출의 10% 수준인 수출비중이 점진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한국형 엘리베이터 카 브레이크 시스템을 국내최초로 개발하고 국가공인기관의 인증과 유럽안전규격인 CE마크를 동시에 획득함.
- 엘리베이터의 과속상승 및 문이 열린채 출발하는 등의 사고방지 안전장치임.
- 기존 로프제동이 아닌 엘리베이터 카에 직접 제동을 가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의 생명줄인 와이어로프에 전혀 손상을 주지않고 외국산 제품과 달리 별도의 추가    장치가 필요없으며 보수가 용이해 높은 경제성과 획기적인 안전성으로 국내뿐 아     니라 해외에서도 특별한 관심을 보임.
◆ 해외제품보다 기능과 안전성에서 월등한 초고속 엘리베이터의 핵심부품인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자체 개발,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서 연간 100억원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 예상.

- 분속 240m, 24인승 엘리베이터용에 이어 420m급도 개발, 완료하였음.
- 에너지 절감률이 30% 이상이고 소음과 진동이 적어 승차감을 획기적으로 개선시    켰으며 권상기의 무게와 부피를 각각 35%, 60%까지 축소시켰으며 안전에 대해 강   도 높은 규제를 가하는 유럽규격(EN81)에도 적합한 듀얼 브레이크 시스템을 답변확정    하여 안전성을 한차원 향상시킴.

◆ 안전성과 승차감이 대폭 향상된 [밀레니엄 에스컬레이터]를 개발 완료하였으며 국내 및 일본시장에 동시 진출할 예정으로 2005년 국내시장 40%,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목표로 함.

- 인체공학적 설계기법과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방식 답변확정, 안전성과 승차감이 대      폭 향상되었으며, 이용승객수에 따라 자동으로 속도조절이 가능함.
- EN(유럽통합규격), ASME(미국규격), JEAS(일본규격) 등, 세계 대부분의 규격에      적합하며 가격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갈 전망임.


[ 물류자동화설비 부문 ]
◆ 96년까지 연평균 40%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였으나, '97년이후 전반적인 경기부진에 따른 투자위축으로 매출이 감소하였음.
◆ 95년 11월 천안 물류센타를 준공하여 전국적인 기술지원 및 설치망을 구축.
◆ 그룹사중심의 대형 물류투자강화와 선진기술도입으로 무고장, 고효율 등 경쟁사와의 기술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
◆ 주요부품의 지속적인 국산화추진으로 원가절감과 주력사업화로 향후 국내 시장점유율을 50%로 성장시킬 계획임.


[ 주차설비 부문 ]
◆ 90년대 들어 자동차보유대수의 증가로 사업다각화의 주요 사업부문으로 부각됨.
◆ 효율적인 주차공간, 안정성, 입출고의 신속성등 Auto Parking System을 지향하여 95년도부터는 기술도입원인 일본에까지 수출하는 등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음.
◆ 수직순환방식, 엘리베이터방식, 다층순환방식, 퍼즐방식, 피트방식, 철골자주식 등 주차설비 전부분에서 매출을 실현하고 있으며 대규모주차설비인 HIP(Hyundai Int-egrated Parking System)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증대시키고 있음.
◆ 당사가 현대백화점 천호점에 설치한 HIP는 400대 수용능력과 분당 300m의 대차주행속도를 가지고 있는 대규모 주차설비로서, 종래의 철골자주식 주차장보다 3분의1 정도 적은 공간에 입출고 시간을 3분의 1로 단축시킨 고효율, 고부가가치의 첨단주차설비로서, 여기서 축적된 기술이 향후 매출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컴퓨터시스템을 통한 주차설비의 이용효율 극대화 및 고장내용 자동진단, 응급조치 등 안전설계에 역점을 둠.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한국표준산업분류
   - 소분류 : 일반목적용 기계제조업(291)

   - 세세분류 : 엘리베이터 및 컨베이어장치 제조업(29162)

(2) 시장점유율

(단위:%)
구       분 2002년 2001년 2000년
현대엘리베이터 27.0 26.3 26.3
 O T I S  L G 55.4 56.2 56.7
동양에레베이터 17.6 17.5 17.0
합              계    100.0 100.0 100.0

주) 시장점유율은 업계 대형 3사의 매출액만을 기준으로 산정함.
    -. 현대엘리베이터 2002년 매출액 : 3,114억원
    -. O T I S  L G     2002년 매출액 : 6,388억원
    -. 동양에레베이타 2002년 매출액 : 2,034억원

엘리베이터 산업 규모를 알아볼 수 있는...

... 높은 산업이다.주요 생산품목으로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를 비롯한 크레인 컨베이어, 지게차, 자동입체창고 설비산업용운송 트럭이나 트레일러등이 있다. 다른 업종에...

아랍 국가

... 중동기업들이 우리나라 대기업보다 돈 더 많이 버나요?... 얼굴까지 가리고 다니면 못알아볼텐테... 13 마스크... 그래서 그 좋은 수준을 논할 수 있는 현실적인 상황이...

5학년 2학기 사회 3차산업 운송업...

... 경제 생활에서 경쟁과 자유 (1)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컴퓨터 새로운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알아볼 수... 내는 산업입니다. ② 우리 나라의 문화를 수출하고 지킬 있다는...

우리나라 독도

... 우리나라의 독도를 아주 자세히! 알고싶어서 그러는데... 50평 규모의 철골 구조물인 해양과학기지를 설치할...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세계적인 지질유적이라고한다.

우리나라 지진의 상황좀요;;

... 줄 수 있는 지진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최근에... 남성지진(규모 7.0)으로서, 우리나라에는 재해를...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안전을 확인하고 가장 가까운...

자동차 산업에 사용된 첨단기술, 첨단...

... 경제 생활에서 경쟁과 자유 (1)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컴퓨터 새로운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알아볼 수... 내는 산업입니다. ② 우리 나라의 문화를 수출하고 지킬 있다는...

세계문화유산 우리나라,다른나라

세계문화유산 우리나라것과 다른 나라 것 알려주셈... 모습을 알아 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2.... 동안 엘리베이터를 오르내리게 하여 다리를 건너가도록...

외국에서 우리 나라를 빛낸 인물들..

... 외국에서 우리나라를 빛낸 인물들 5개 위로 좀 적어주세요.. 내공 많이 드립니다... 또 관객이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에 관계하고 작품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차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