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질문드립니다.

미시경제학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19.02.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미시경제학 미분과 한계 개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질문 1.

만약 f(x)=X^2 이라는 함수가 있으면 f'(x)=2x 가 되는데

f'(1)= 2 라는 것은 x=1 일때 그 순간 f(x)가 2만큼 변했다라고 해석이 됩니다.

그런데 x 값이 0.9999 에서 1로 변했을 때 1에서 순간적으로 얼마만큼의 f(x)가 증가하였냐를 보면

f(0.9999)=0.99980001 이고 f(1)=1 이어서 1이 되는 순간의 변화량은 1-0.99980001=0.0001999 로 보입니다. 0.9999와 1의 차이를 더 적게 하면 f(x)의 변화량은 0.0002 로 다가갈 것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x=1에서의 순간적인 변화량은 0.0002가 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0.0000000000000002 정도로 훨씬 작은 값)

왜 2가 x=1에서의 순간 변화량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질문 2.

한계생산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냉장고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가정하겠습니다.)

TP=L^2 이라는 총생산함수가 있다고 하면 MP=2L 이 될 것입니다.

L=3 일 때 MP=6 이 되며 미분값을 순간변화량으로 보면 이는 3번째 노동자가 6개의 냉장고를 추가로 생산한 것입니다.

(저는 질문1에서의 의문을 가지고 있기에 이러한 해석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3번째 노동자는 0.0000006 개 만큼 작은 수의 냉장고를 추가로 생산했다고 생각이 됩니다..)

다음은 제가 생각하는 L=3 일 때 MP=6 의 의미입니다.

미분의 의미로 보면 L=3에서 L의 투입을 아주 조금 (0.0001 명 만큼) 늘리면 냉장고가 0.0006 개만큼 증가한다로 해석이 가능해 보입니다. 미분에서의 한 단위는 1명이 아니라 매우매우 작은 수이므로 3번째 노동자나 3.0001번째 노동자나 냉장고 0.0006개를 추가로 생산한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노동 한 단위가 매우 작은 수이므로 3번째 노동자가 추가로 생산하는 냉장고의 양이나 3.0001번째 노동자가 추가로 생산하는 냉장고의 양은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한 것이 아닐까요..?)

그런데 책에서는 MP=6 을 L=3 일 때 노동자 1명을 추가로 투입하면 냉장고 생산량이 6개 늘어난다고 해석을 합니다.

L=3 일때 노동자가 0.00001 만큼 늘어나 냉장고가 0.00006 만큼 증가하나

노동자가 0.000000001 만큼 늘어나 냉장고가 0.000000006 만큼 증가하나

노동자 1명을 증가시킨다고 생각하면 냉장고는 6개가 추가로 생산될 것입니다.

0에 아주 가까운 작은 수가 0.00001 명인지 0.0000000000001 명인지 정할 수가 없으니까 그냥 1명이 늘어났을 때로 확대 해석하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L=3 일 때 MP=6 이라는 값은 4번째 노동자가 추가로 생산한 냉장고의 개수가 되는데

원래의 미분 개념인 순간변화량 (3번째 노동자가 냉장고 6개를 추가로 생산했다) 와 모순이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계의 개념과 미분이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가요?

미분값을 해석하는게 잘 안됩니다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평균변화율은 x를 1 변화시켰을 때에 그에 따른 함숫값의 변화입니다. 그래프로 보면 이는 한 점과 다른 점의 기울기이죠.
그러나 순간변화율은 x의 변화를 무한소로 매우 작게 하여서 그에 따른 함숫값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그래프로 보면 이는 함수 f(x) 접선의 기울기이고, 이것이 바로 미분입니다. 

2. 
그래서 사실 엄밀하게 수학적으로 따진다면, 노동 1단위 투입했을 때 생산량이 얼마가 늘어나느냐, 이것은 순간변화율인 미분이 아닌 것입니다. 평균변화율이죠.
그래서 이 경우에는 MP=dTP/dL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고, MP=델타TP/델타L로 표기합니다. 
수학에서 d는 미분의 기호이지만, 델타는 변화분의 기호이니까요.  

TP=L^2, MP=dTP/dL=2L
L=2일때, TP=4, MP=4
L=3일때, TP=9, MP=6
L=4일때, TP=16, MP=8

보시면 아시겠지만, L=3일때 총생산량은 9이고, 이때 한계생산량은 6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L의 변화를 무한소로 접근시켰을 때에 그때 총생산량이 6만큼 늘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실 이를 노동 1단위 투입시켰을 때 생산량이 6만큼 늘어난다고 해석하면 안됩니다. 그렇게 쓴다면 그것이 잘못된 표현입니다. 위의 결과를 보더라도 L=2에서 노동 1단위 투입하여 L=3이 되면, 총생산량은 4에서 9로 5만큼 늘었습니다. 

애초에 노동 1단위 투입하는 시점마다 생산량이 나오는 결과라고 한다면, 생산함수라는 것 자체를 TP=L^2과 같이 연속함수로 주어지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가 않는 예시입니다. 
노동 1단위 투입할 때 생산량 변화가 어떻게 되느냐고 물으려면 애초에 문제가 생산함수 형태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불연속적인 표로 제시되어있어야 합니다. 생산요소 자체도 1단위 1단위씩 끊어놓았기 때문입니다. 

제가 보기에 이러한 예와 그 표현 자체는 문제나 교재에서 나왔다기 보다는, 질문자님이 여기저기서 본 것들을 종합하여 적으신 듯 합니다. 만약 교재에 정말로 저 예시가 들어져있고, L=3일때 노동 1단위가 투입되었을 때 생산량이 6이 늘어난다라고 되어있다면 그것이 잘못된 표현입니다.

미시경제학 질문 드립니다

밑에 탄력성 이용방법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어떻게 2가 나오는 건가요? 식에서 직각쌍곡선인것까지는 이해했는데 저게 어떻게 2가 나오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ㅠㅠ...

미시경제학 질문 드립니다 재화를 폭넓

미시경제학 질문 드립니다 재화를 폭넓게 정의하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아진다 무슨말인가요? 재화를 폭넓게 정의하면, 대체재의 범위가 좁아진다는 관점에서, 수요의...

미시경제학 질문

문제를 풀다가 막혀서 풀이 요청 부탁드립니다 문제는 7번의 a.d a. 독립변수와... 미시경제학 문제에 대한 해설을 도와드리겠습니다. a.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각각...

미시경제학 질문드립니다.

... 210 질문자분께서 언급하신 풀이를 정확히... 점은, 질문자분의 풀이에서 기존 가격 200 에 세금의... 그러나 질문해주신 문제의 경우,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안녕하세요! 미시경제학 질문 드립니다,,

경제학 문제들에 대해서 길게 답변해주신것들 보고 일대일 질문 드립니다ㅜㅜ... 최초의 X재 가격은 100원, Y재 가격은 100원, 소비자 A의 소득은 2,000원 이라고 하자....

미시경제학 질문드립니다.

미시경제학 미분과 한계 개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질문 1. 만약 f(x)=X^2 이라는 함수가 있으면 f'(x)=2x 가 되는데 f'(1)= 2 라는 것은 x=1 일때 그 순간 f(x)가 2만큼...

세무사 자격증 재정학 vs 미시경제학

...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내용에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세무사... 한다면, 미시경제학 수업을 들어보는 것도 추천해드립니다. 이를 통해 경제에 대한 기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