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 자본시장 문제 질문

재무 자본시장 문제 질문

작성일 2023.12.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증권시장선으로 자기자본비용을 구할 때 자기자본비용을 결정하는 위험은 표준편차인가요?

2. 가중평균자본비용의 가중치는 장부 가액으로 산출하나요?

3. 합병의 경제성을 판단하는 최종 기준은 시너지 효과의 크기인가요?

4. 분산투자의 효과는 합병의 할인율에 영향을 미치나요? 아님 현금흐름에 영향?

5. 전통적 자본구조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mm이론이 맞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증권시장선으로 자기자본비용을 구할 때 자기자본비용을 결정하는 위험은 표준편차가 아닙니다. 증권시장선은 무위험수익률과 시장수익률의 차이를 위험프리미엄으로 나타낸 선입니다. 자기자본비용은 시장수익률에 자기자본의 위험을 반영한 프리미엄을 더한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자본비용을 결정하는 위험은 시장위험입니다.

2. 가중평균자본비용의 가중치는 장부 가액으로 산출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장가액으로 산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부 가액은 회사의 재무제표에 나타난 자본의 가치를 의미하며, 시장가액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장가액은 장부 가액보다 정확한 자본의 가치를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가중평균자본비용의 가중치는 시장가액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합병의 경제성을 판단하는 최종 기준은 시너지 효과의 크기입니다. 시너지 효과는 합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이익을 의미합니다. 합병 후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면 합병은 경제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분산투자의 효과는 합병의 할인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분산투자의 효과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합병은 두 회사를 하나의 회사로 합치는 것이므로, 합병 후에도 투자 포트폴리오의 위험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분산투자의 효과는 합병의 할인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5. 전통적 자본구조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MM이론**이 맞습니다. MM이론은 자본구조가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MM이론에 따르면, 기업은 자기자본과 부채의 비율에 관계없이 동일한 가치를 가집니다. MM이론은 기업의 자본구조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다양한 자본구조이론의 발전에 기초가 되었습니다.

재무관리문제풀이질문드려요*-*

재무관리 2문제좀 풀어주세요 ㅜㅜ 문1) 자본 시장이 균형 상태에 있는 경우 주식 A의 베타 및 기대수익률이 0.8, 15% 이고 주식 B의 베타 및 기대수익률이 1.3, 10% 이다....

자본시장, 증권시장, 금융관련 개념설명...

... 자세히 질문을 올릴테니 답변 부탁드릴께요. ( 답변... 개념 문제인데요, 너무 어렵지 않게 설명해주세요;... 자본시장통합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CFP(국제재무설계사)...

재무관리질문이요.ㅠㅠ

... 존재하는 자본시장을 가정한다. 이와같은경우... 산업평균비율 제가 생각했을때에는 이 문제에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 투자자나 분석가 등 재무비율을...

재무관리 질문드립니다

재무관리 질문드립니다 가중평균 자본비용 wacc 을... 자기자본시장가치)를 알아야되며 이러한 시장가치를... 순환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얘기입니다. 다행히 이 순환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