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집행자, 수증자, 상속인의 예

유언집행자, 수증자, 상속인의 예

작성일 2015.07.2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각각의 의미와 예를 알려주세요.

또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요.


#유언집행자 수증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유언집행자

유언 집행자는 유언의 집행을 담당하는 자

유언자가 지정하는 사람 또는 유언자로써부터 위탁받은 사람이 지정한 사람이 유언집행자로써 되며(지정유언집행자), 지정유언 집행자가 없으며 상속인이 유언집행자가 되고(법정 유언집행자), 유언집행자가 없거나 사망 결격 기타 사유로로 없게 되는 때에는 마직막으로 가정법원이 유언집행자를 선임하게 됩니다.


2. 수증자

유언에 의한 증여(유증)를 받는 자

자연인 뿐만 아니라 법인도 수증자가 될 수 있습니다. 상속인과 동일한 결격사유가 인정이 되며(민법 제1064조, 제1004조), 또 수증자는 유언이 효력을 발생한 때(유언자가 사망한 때)에 생존해 있어야 합니다. 유언자의 사망전에 수증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수증자 지위의 승계(일종의 대습수증)는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결국 유증은 그 효력이 생기지 아니합니다. 태아는 유증에 있어서도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태아에게 유증할 수도 있습니다.


3. 상속인

상속능력은 상속인이 될 수 있는 능력(지위,자격)을 말합니다. 상속에 의하여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권리 의무를 승계함으로 상속능력이 있으려면 당연히 권리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민법은 상속인을 피상속인의일정한 친족에 한정하고 있으므로 자연인만이 상속인이 될 수 있고 법인은 상속인이 되지 못합니다.

어떤자가 상속인으로서 상속을 받을 수 있으려면 피상속인이 사망할 당시에 생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동시존재의 원칙이라고 합니다.



유언집행자, 수증자, 상속인의 예

... 없으며 상속인유언집행자가 되고(법정 유언집행자), 유언집행자가 없거나 사망... 가정법원이 유언집행자를 선임하게 됩니다. 2. 수증자 유언에 의한 증여(유증)를 받는 자...

집행에 대해서.(유언집행자관련)

자필증서유언유언집행자가 지정되어있으면 해당유언유언검인시 일부상속인들의 반대가 있어도 집행자가 이를 집행할 수 있나요? 예를들어 유언내용대로의 예금인출등....

수증자가 동시에 유언집행자가 될 수...

유언공정증서에 수증자가 동시에 유언집행자가 될 수 있나요? 있습니다. 민법 제1095조... 전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유언집행자가 없는 때에는 상속인유언집행자가 된다.

유언공증 증인 및 유언집행자에 대해...

... 증인이 필요하다면 상속인 2명의 배우자가 증인이 될수 있나요? 유언집행자는 2명의... 유언집행자는 제3자가 해도 되나 가급적 수증자 중에 한 사람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유증 유언차이

... 위탁, 유언집행자의 지정 또는 위탁, 유증 등이... 경우에는 수증자는 재산상속인과 동일한 권리 의무가 있으므로(민법 1078조) 유언의 효력발생과 동시에 상속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