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임차인의 대항력 여부

법인 임차인의 대항력 여부

작성일 2022.06.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다가구 4층 다락에 법인이 7천만원에 임차계약을 하고 사업자를 내었음(소멸기준보다 사업자등록일이 빠름, 확정없음, 배당신고없음)

2. 다가구는 법인대표의 처가 소유하고 있으며, 4층에 거주하고 있음

3. 다가구 1층 및 2층 일부 근생이며, 나머지는 다가구임

이럴경우 4층다락을 임차하였다는 법인은 대항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법인 임차인의 대항력 여부

1. 다가구 4층 다락에 법인이 7천만원에 임차계약을 하고 사업자를 내었음

(소멸기준보다 사업자등록일이 빠름, 확정없음, 배당신고없음)

답변: 법인이 선정한 직원이 해당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쳤을 때에는 대항력을 갖지만

사업자 등록일만으로는 대항력이 없어 보입니다.

2. 다가구는 법인대표의 처가 소유하고 있으며, 4층에 거주하고 있음

답변: 법인도 법인격이 있고, 법인대표의 처도 개인격이 있기에 전혀 별개의 재산입니다.

법률적으로 연관관계는 없습니다.

3. 다가구 1층 및 2층 일부 근생이며, 나머지는 다가구임

답변: 4층은 주택으로 보아야 할것입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는 대항력을 갖기위해서는 전입+인도 가 전제조건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는 자연인인 서민들의 주거생활 안정을 보호하려는 취지로 만들어 진것입니다.

서민들에게 주민등록의 전입과 인도(이사,점유)를 하면 다음날 부터 대항력이 생깁니다.

자연인이 아닌 법인은 보호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② 주택도시기금을 재원으로 하여 저소득층 무주택자에게 주거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전세임대주택을 지원하는 법인이 주택을 임차한 후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그 법인이 선정한 입주자가 그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쳤을 때에는 제1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대항력이 인정되는 법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5. 1. 6.>

③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법인이 소속 직원의 주거용으로 주택을 임차한 후 그 법인이 선정한 직원이 해당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쳤을 때에는 제1항을 준용한다. 임대차가 끝나기 전에 그 직원이 변경된 경우에는 그 법인이 선정한 새로운 직원이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친 다음 날부터 제삼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②, ③항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대항력을 인정해주고 있습니다.

질문자께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보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주택임차인이 대항력을 취득하기 요건은 당연히 법조문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주택의 인도’ 및 ‘주민등록’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의 질문은

‘경매보다 NPL이 좋다’라고 에 부동산 재테크 카페 있는데

추천 드리오니, 방문하여 강의후기 등 부동산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고

추가 질문바랍니다.

저도 이곳에서 정보 받고 부동산 재테크 열심히 함께 하고 있습니다.

좋은 결과를 기다립니다.

법조문 참조:

주택임대차보호법 (약칭: 주택임대차법 )

제1조(목적) 이 법은 주거용 건물의 임대차(賃貸借)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 범위) 이 법은 주거용 건물(이하 “주택”이라 한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임대차에 관하여 적용한다. 그 임차주택(賃借住宅)의 일부가 주거 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제3조(대항력 등) ① 임대차는 그 등기(登記)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賃借人)이 주택의 인도(引渡)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 날부터 제삼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이 경우 전입신고를 한 때에 주민등록이 된 것으로 본다.

② 주택도시기금을 재원으로 하여 저소득층 무주택자에게 주거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전세임대주택을 지원하는 법인이 주택을 임차한 후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그 법인이 선정한 입주자가 그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쳤을 때에는 제1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대항력이 인정되는 법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5. 1. 6.>

③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법인이 소속 직원의 주거용으로 주택을 임차한 후 그 법인이 선정한 직원이 해당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쳤을 때에는 제1항을 준용한다. 임대차가 끝나기 전에 그 직원이 변경된 경우에는 그 법인이 선정한 새로운 직원이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친 다음 날부터 제삼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임차인의 대항력 여부

... 입찰여부를 판단하시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니 이점... 임차인의 대항력은 배당요구종기일 까지 유지하면 되기... 일반적인 중소기업법인 도 아니고,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경매 시 임차인의 대항력 여부

... 관련태그: 임대차 # 법무법인 정향 | 임정엽 변호사 # [변호사 프로필보기] | [더 많은... 귀하(임차인)는 대항력, 우선변제권을 가지고 있으나 공매절차에서 배분요구서를...

전출 후 가족 전입과 대항력 유지 여부

... 원룸으로 전출가도 기존에 제가 대항력 유지될까요?? (아파트에 계속 거주해왔고... # 로톡은 법무법인이나 법률사무소가 아니며, 법률사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모든...

이뤄진 경우, 대항력과 우선변제권 여부

... 승계(임차인의 임차권 승계) 내용이 있음 매매 계약서... 법무법인 로앤케이 | 김태운 변호사 # [변호사... 다른 근저당권자나 주택의 양수인 등과의 관계에서 대항력 여부를...

주택 전세 임차인의 대항력 유지에 대한...

... 보증금을 받을때까지 대항력을 유지하고자, 대항력... 관련태그: 임대차 # 법무법인 인화 | 김명수 변호사...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임차인께서 신경쓰실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