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완화 정책이 실물부문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금융완화 정책이 실물부문의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작성일 2016.04.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본(외국인 증권투자자금)유출, 가계부채 놓고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대해 한은 금통위 의견 갈려...' 라는 기사에서 본 내용인데요,


대부분의 위원들은 더 이상 기준금리를 인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지만,

소수 위원들은 1. 무역수지 흑자로 축적된 상당한 규모의 외환보유고가 있고,

2. (수출이 하락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추가적인 금융완화는 실물부문의 개선과 저물가 고착화의 억제에 기여할 것이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금융안정 리스크가 심화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라고 주장했어요.


여기서

< 추가적인 금융완화는 실물부문의 개선과 저물가 고착화의 억제에 기여할 것 >

이게 무슨 말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물가의 고착화란 무슨 의미일까요?
경기가 침체되면 가계의 소비가 줄고, 그럼 기업은 매출이 줄겠죠.
가계의 소비가 줄면 기업은 매출을 늘리기 위해 물건의 가격을 내립니다.
하지만 가계는 기업이 가격을 더 내릴 것이라 기대하고 소비를 미룹니다.
저물가가 고착화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저물가에 경기침체가 수반되면 디플레이션으로 가는거죠.

금리를 낮추면 가계는 저축의 유인이 줄겠지요. 소비가 늘어납니다.
기업은 낮은 금리로 대출이 쉬워져 투자가 용이해지지요.
소비가 늘어나고 기업이 투자를 늘리면 실물경제가 선순환하게 됩니다.
이런 국면에서는 가계소비가 늘어나니 물가는 상승하겠지요.
인플레이션 목표를 잡는 이유가 이런 경제의 선순환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비둘기파의 입장은 이렇게 금리인하가 실물부문을 개선하고 저물가 고착화를 막을 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현실은 이론대로 움직이지 않지요. 금리인하는 단기적인 처방에 그치는 경우가 많구요.
게다가 우리나라는 심각한 가계부채의 문제도 안고 있습니다.. 그래서 논란이 있는 것입니다.





양적완화 부작용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각 국가에서 금리를 낮추고 유동성을 확대하는 양적완화 정책은 위축된 실물 경제에 소비나 투자를 통해 시장에 활력을 목적으로 시행하잖아요. 금리...

코스피 3300 선 톨파 란 무슨 말인가요

... 이게 무슨 말인가요 3300은 무엇을 뜻하는건가요? 1. 시황... 자산 실물가가 급등하는 현상이 한 1년 지나다 보니 , 이에 맞서는 개인 기관 금융기관이 생기는 겁니다. 미래...

삼성 트리플 크라운...?? 무슨 말인거죠??

...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혹시... 가장 유력한 정답은 삼성전자의 TV 부문이 될 것이다....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때부터 좋은 현지...

신자유주의라는 영미식 모델이 무슨말인...

신자유주의라는 영미식 모델이 무슨말인가요? 영미식... 신자유주의는 감세 정책, 사유화(privatization), 금융 자유화... 누진세율을 완화하는 등), 이자율 결정 시장으로의 위임...

코스닥이란 무슨 말?

코스닥이란 단어가 무슨 말이죠? 쉽게 좀 설명해 주세요..... 여건을 개선하는 등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1998년 1일 평균 55억...

코스닥.상장이 무슨말이에여?

코스닥.상장기업..무슨말인지 잘 모르겟어요.. 답변좀... 여건을 개선하는 등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1998년 1일 평균 55억...

말이 자주 나오던데 무슨 뜻인가요?

... 나오던데 무슨 뜻인가요? 경기침체기에 경기를 부양하기 위하여 취하였던 각종 완화정책을 경제에 부작용을... 2008년부터 시작된 이른바 세계 금융위기와 관련해서는...